육아휴직기간 안낸 국민연금 보험료 추가납부 가능

육아휴직기간 안낸 국민연금 보험료 추가납부 가능

입력 2015-02-06 09:11
수정 2015-02-06 09: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육아휴직기간 내지 않은 국민연금 보험료를 나중에 따로 내서 가입기간을 늘릴 수 있다는 조언이 나왔다. 그러면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최소 가입기간(10년)을 채우지 못해 그간 낸 보험료를 노후에 연금으로 받지 못하고 반환일시금으로만 돌려받을 수밖에 없는 불이익을 피할 수 있다는 충고다.

6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직장인이 1년간 육아휴직을 하면 회사는 보통 휴직기간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지 않겠다고 납부 예외 신청을 한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국민연금 보험료(보수월액의 9%)의 절반은 자신이, 나머지 절반은 회사가 낸다. 하지만, 육아휴직기간에는 회사가 별도로 월급여를 주지 않는다. 단지 하한액 50만원, 상한액 100만원 한도에서 임금의 40%를 육아휴직급여로 받을 뿐이다. 게다가 이런 육아휴직급여 가운데 85%만 매달 받고, 나머지 15%는 복직 6개월 뒤에 합산해서 받는다. 육아휴직자가 매달 받을 수 있는 최고액은 기껏 85만원에 불과하다. 육아휴직자 처지에서는 월소득이 거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런 상황에서 연금보험료를 부과하면 경제적으로 부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사는 보험료 납부의무는 지지 않으면서 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자 자격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납부 예외를 신청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육아휴직기간 내지 않은 보험료를 내고 싶으면 ‘추후납부 제도’(추납제도)를 이용해 낼 수 있다.

추납 신청할 시점의 월 보험료에다 추납을 원하는 기간을 선택해 보험료를 내면 된다.

다만, 이 과정에서 근로 기간에는 회사가 보험료의 절반을 내줬지만, 육아휴직기간의 추납 보험료는 근로자 자신이 전액 내야 한다.

2014년 우리나라의 남성 육아휴직자는 3천421명으로 2013년의 2천293명보다 49.2% 증가하는 등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하지만, 전체 육아휴직자 중 4.5%에 그치는 등 여전히 여성보다 훨씬 적은 수준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