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으로 빠져나간 배당액 작년 100억弗 넘었다

외국으로 빠져나간 배당액 작년 100억弗 넘었다

입력 2015-02-23 07:06
수정 2015-02-23 07: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 배당 확대정책으로 올해는 작년보다 많을듯

지난해 국내에서 해외로 빠져나간 외국인 배당 지급액이 사상 최초로 100억달러를 넘었다.

23일 금융권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인들이 국내에서 받아 해외로 송금한 배당액은 102억8천만달러(약 11조3천600억원)였다.

이는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1980년 이래 가장 큰 수치다. 직전 최고액은 2007년 81억8천만달러였다.

외국에 배당으로 빠져나간 금액은 1998년 4억9천만달러에 불과했으나 2006년 70억달러로 늘었고 2007년에는 80억달러를 넘어섰다.

이후 2012년 67억8천만달러, 2013년 80억달러로 주춤했다가 작년에 가파르게 상승했다.

노충식 한국은행 국제수지팀장은 “외국인에게 지급하는 배당이 늘어나는 것은 그만큼 국내 기업의 배당성향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외국인 주식보유율은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2013년 말 32.9%에서 지난해 말 31.7%로 소폭 낮아졌다.

그러나 지난해 7월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내수 경제활성화 차원에서 기업소득 환류 세제, 배당소득 증대 세제 등 배당 독려정책을 내놓았다는 점에서 올해는 외국인 배당액이 작년치를 넘을 전망이다.

이미 삼성·현대차·SK·LG 등 4대그룹 소속 상장사의 경우, 올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받는 배당금이 지난해 2조8천297억원에서 올해 3조8천128억원으로 9천832억원(34.7%) 급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4대그룹 상장사 배당금 순증가액의 절반이 넘는 58.1%를 챙겨갈 뿐 아니라, 4대그룹 상장사들이 지급하는 전체 배당금의 절반에 가까운 49.3%를 독식하게 된다.

금융권에서는 최근 KB·신한·하나금융 등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들의 외국인 주주 지분율은 최근 70%에 이르렀고, DGB금융지주는 외국인 지분율(72.6%)이 이미 70% 선을 넘어섰다. 외국계 은행인 SC은행과 씨티은행은 외국인 지분율이 100%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 KB·우리·신한·하나·SC·씨티 등 당시 6개 금융지주사가 외국인 주주들에게 배당한 금액만 약 3조원에 달했다.

은행을 주력으로 삼는 금융지주들이 대부분 국내 소비자를 상대로 예금-대출 이자 차익 챙기기를 통해 순익을 올렸지만, 그 과실은 대부분 외국인에게 돌아가는 것이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정부의 배당 확대 정책의 최대 수혜자는 외국인투자자와 대주주”라면서 “국부유출 문제가 더 심각해지기 전에 학계와 정부가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