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침해사고 당한 누리꾼의 절반이 무대응”

“인터넷 침해사고 당한 누리꾼의 절반이 무대응”

입력 2015-02-24 05:17
수정 2015-02-24 05: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ISA 정보보호 실태조사…정보보호 정책 수립 기업 11% 수준

컴퓨터 바이러스 감염이나 개인정보 침해 사고를 당한 누리꾼의 절반 이상이 이 같은 사고로 피해를 봤음에도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은 채 넘어갈 정도로 정보보호 인식이 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낸 ‘2014년 정보보호 실태조사(개인부문) 보고서(요약본)’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 2천500명 중 인터넷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 개인정보 유출, 애드웨어 피해 등을 경험한 사람은 22%였다.

하지만 이들 경험자 중 52.6%는 피해를 보고도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았다.

이들이 경험한 피해 유형으로는 정보 손실이나 기기성능 저하를 일으킨 ‘웜바이러스 감염’이 11.4%로 가장 많았고, ‘개인정보 유출·사생활 침해’ 10.7%, ‘애드웨어·스파이웨어 피해’ 3.2%, ‘금전적 손실(전자금융사기)’ 2.2%로 집계됐다.

반면 침해사고를 당한 누리꾼이 취한 대응 조치로는 ‘보안 소프트웨어 설치’가 1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정보보호 관련 업체 신고·상담’ 13.7%,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신고·상담’ 11.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누리꾼들이 PC나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꼽은 사전 예방조치(복수응답)로는 ‘의심스러운 웹사이트는 접속하지 않는다’(78.3%)가 첫번째였고, ‘의심스러운 이메일에 첨부된 파일은 열어보지 않는다’(67.4%)거나 ‘잘 모르는 웹사이트에서 파일을 내려받지 않는다’(66%)는 답도 많았다.

국내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도 개인과 비교해 크게 다르지 않았다.

KISA가 함께 낸 기업부문 정보보호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조사 대상기업 7천89개 중 정보보호 정책을 수립했다고 답한 기업은 11.3%에 그쳤다.

금융 및 보험업은 74.5%로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정보서비스업 26%, 시설·사업지원서비스업 16.6%, 농림수산업 14.7%, 기술서비스업 9.5%, 운수업 6.6% 등으로 대부분 업종에서 정보보호 정책 수립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를 임명한 기업은 전체의 7.7%, 정보보호 전담조직을 운영하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2.8%에 불과했다. 아울러 정보보호 예산을 편성한 기업도 전체의 10.5%에 그쳤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