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유럽 TV 시장은 삼성이 ‘접수완료’

美·유럽 TV 시장은 삼성이 ‘접수완료’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5-02-25 00:24
수정 2015-02-25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럽 평판TV 점유율 40% 1위… 북미는 35%

삼성전자가 주요 프리미엄 TV 시장으로 꼽히는 유럽에서 40%에 육박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


24일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유럽 평판 TV 시장에서 39.7%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삼성전자의 전체 평판 TV 시장 점유율 29.2%보다 10.5% 포인트 높은 수치다.

삼성전자는 북미 평판 TV 시장에서도 35.4%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2000년대 초만 해도 삼성전자의 북미시장 매출 점유율은 13개 제조사 가운데 12위에 랭크되는 등 꼴찌에 가까웠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이 가장 큰 TV 시장으로 떠올랐지만 유럽이나 북미시장은 여전히 중요한 TV 시장의 격전지로 꼽힌다”면서 “두 시장은 삼성전자가 이미 현지화를 마친 데다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는 등 매년 공을 많이 들이는 곳”이라고 말했다.

브라운관 시절만 하더라도 만년 적자를 면치 못했던 삼성전자는 어떻게 반전을 이뤄 냈을까. 일단 2000년대 중반 LCD 기술을 선도하며 프리미엄 이미지를 선점한 게 주효했다.

삼성전자는 2006년 당시 윤종용 고문, 최지성 대표, 윤부근 사장 등 TV사업부 임원 40여명으로 구성된 ‘TV 일류화 위원회’를 구성, 500여명의 반도체 인력을 대거 수혈하는 등 TV 사업에 사활을 걸었다.

이렇게 탄생한 제품이 소니를 제치고 처음으로 삼성전자에 1등을 안겨 준 ‘보르도 LCD TV’다. 이 제품은 스피커를 TV 밑으로 내리고 TV 모서리를 곡선으로 처리하는 등 획기적인 디자인으로 시장 판도를 뒤집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가옥 구조상 북미는 큰 화면을 좋아해 PDP도 잘 나가는 반면 유럽은 작지만 디자인적으로 완성도가 높은 제품을 많이 찾는다”고 말했다.

한편 과거 전통 TV 명가로 이름을 날렸던 소니는 지난해 유럽 평판 TV 시장에서 9.2%의 점유율을, 북미에서는 7%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LG전자는 각각 22.7%, 13.9% 점유율로 유럽에서는 2위를, 북미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북미에서는 현지 업체인 비지오가 삼성에 이어 15.4%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2-2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