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현대자동차의 경영전략 핵심 키워드는 투자 확대와 미래 경쟁력 제고다. 전 세계 자동차 수요가 올해 대비 4.2% 증가한 8720여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엔저를 등에 업은 일본 업체들의 판촉 공세에 따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평택항 수출선적 부두에서 선적을 기다리고 있는 현대차의 모습. 현대자동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평택항 수출선적 부두에서 선적을 기다리고 있는 현대차의 모습. 현대자동차 제공
우선 현대차는 다음달 3세대 투싼 모델에 이어 하반기에는 6세대 아반떼를 출시한다. 현대차는 늘어나는 중국 자동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4, 5공장 착공을 연내에 진행할 계획이다. 허베이성 창저우시에 30만대 규모의 네 번째 신규 공장을, 충칭시에 30만대 규모 다섯 번째 공장을 건립하기로 지난해 말 각 지방정부와 합의했다.
지난해 9월 한전과 삼성동 부지 인수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그룹이 그리는 글로벌비즈니스센터의 첫 단추를 끼웠다. 글로벌 5위 완성차 업체의 위상에 걸맞은 글로벌비즈니스센터를 건립해 전 세계에 포진해 있는 사업장과 그룹 계열사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를 확보할 계획이다. 글로벌비즈니스센터 내에는 업무시설 외 호텔 등 숙박시설, 국제 수준의 컨벤션센터, 자동차 테마파크 등 관광시설, 대형 쇼핑몰 등을 포함해 업무와 문화, 생활, 체험, 컨벤션 등이 조화를 이룬 대한민국의 대표 랜드마크로 조성할 계획이다.
미래 자동차 업계의 생존 화두로 떠오르는 차량용 정보기술(IT)과 친환경차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또 현재 전 세계 친환경차 시장에서 가장 합리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하이브리드카와 가장 이상적인 친환경차인 수소연료전지차 연구개발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5-02-2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