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저임금 OECD 회원국 중 14위, “순위 더 올라갈수도” 뭐 때문에?
‘한국 최저임금’
우리나라의 최저임금 수준이 세계경제협력기구(OECD) 25개 회원국 가운데 중위권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9일 노사정위원회의 임금보고서와 한국경영자총협회의 분석에 따르면 2013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연간 최저임금액은 1만 2038달러로 OECD 25개 회원국 가운데 14위였다.
분석에 따르면 호주가 3만 839달러로 1위, 프랑스가 2만 2788달러로 7위, 영국이 2만 226달러로 9위였다. 일본과 미국은 1만 6043달러, 1만 5080달러로 각각 10위와 11위를 차지했다.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국가는 스페인(1만 1995달러, 15위), 멕시코(1285달러, 25위) 등이 있다.
영국, 프랑스 등 우리나라보다 최저임금이 높은 국가들은 우리나라와 달리 상여금, 숙박비 등을 최저임금에 포함시켰다. 이 점을 감안하면 한국의 최저임금은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한편 한국의 최저임금은 시급으로 따지면 지난해보다 7.1%(370원) 오른 5580원이다. 8시간을 기준으로 한 일급은 4만 4640원, 월급은 116만 6220원, 연간으로는 1399만 4640원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한국 최저임금’
우리나라의 최저임금 수준이 세계경제협력기구(OECD) 25개 회원국 가운데 중위권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9일 노사정위원회의 임금보고서와 한국경영자총협회의 분석에 따르면 2013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연간 최저임금액은 1만 2038달러로 OECD 25개 회원국 가운데 14위였다.
분석에 따르면 호주가 3만 839달러로 1위, 프랑스가 2만 2788달러로 7위, 영국이 2만 226달러로 9위였다. 일본과 미국은 1만 6043달러, 1만 5080달러로 각각 10위와 11위를 차지했다.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국가는 스페인(1만 1995달러, 15위), 멕시코(1285달러, 25위) 등이 있다.
영국, 프랑스 등 우리나라보다 최저임금이 높은 국가들은 우리나라와 달리 상여금, 숙박비 등을 최저임금에 포함시켰다. 이 점을 감안하면 한국의 최저임금은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한편 한국의 최저임금은 시급으로 따지면 지난해보다 7.1%(370원) 오른 5580원이다. 8시간을 기준으로 한 일급은 4만 4640원, 월급은 116만 6220원, 연간으로는 1399만 4640원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