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그룹 신규채용, 임금인상 논란끝 작년보다 6.3% 줄여

30대그룹 신규채용, 임금인상 논란끝 작년보다 6.3% 줄여

입력 2015-03-16 11:02
수정 2015-03-16 13: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경련 조사 “신규채용 12만명, 2년째 감소…통상임금·정년연장 탓”

이미지 확대
’30대 그룹의 올해 투자와 고용 계획은’
’30대 그룹의 올해 투자와 고용 계획은’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30대 그룹의 2015년 투자 및 고용 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30대 그룹의 올해 총 투자금액은 작년보다 16.5% 늘어난 136조4천억원으로 집계됐고, 신규채용 규모는 작년보다 6.3% 감소한 12만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30대 그룹이 올해 12만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신규채용 규모는 작년보다 6.3% 감소하는 등 2년 연속 줄어들 전망이다.

아울러 30대 그룹의 올해 총 투자금액은 작년보다 16.5% 늘어난 136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자산 상위 30대 그룹을 대상으로 ‘2015년 투자·고용계획’을 조사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30대 그룹의 신규채용은 2013년 14만4천501명에서 2014년 12만9천989명으로 10% 감소한데 이어 올해 12만1천801명으로 6.3%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채용이 전년보다 증가하는 그룹은 7곳, 감소하는 그룹 19곳, 작년 수준은 4곳이다.

전년 대비 총 근로자 수는 지난해 1.1% 늘어난데 이어 올해는 1% 증가해 118만651명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정년 연장에 따른 채용 여력 감소와 통상임금 확대에 따른 인건비 상승이 신규 채용 규모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본다”며 “신규채용이 줄어드는 고용절벽 현상이 수년간 지속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전경련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초 500대 기업 중 종업원 수가 300명이 넘는 207개사를 대상으로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채용 규모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적정 정원관리(55.8%)’가 꼽혔다.

이어 국내외 업종경기 상황(19.4%), 인건비 총액(15.3%), 정부시책 호응(5.8%) 순이었다.

전경련은 또 지난 1월 설문조사에서는 통상임금 범위를 재조정한 34개 기업의 통상임금이 평균 17.9% 인상됐고, 인건비 증가로 이어졌다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전경련은 “지금까지의 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고용절벽 현상 극복을 위해서는 임금피크제와 직무성과급 임금체계를 도입하고, 경기상황에 맞게 인력조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30대 그룹의 2015년 연간 총 투자금액은 작년보다 16.5% 늘어난 136조4천억원이다.

시설부문 투자비가 102조8천억원으로 19.9% 늘어나고 연구개발(R&D) 투자비는 33조6천억원으로 7.4% 증가할 전망이다.

30대 그룹 중 투자가 전년보다 증가하는 그룹은 17곳, 감소하는 그룹 11곳, 전년 수준은 2곳으로 집계됐다.

2014년 총 투자금액이 전년보다 0.2% 증가한 데 비해 올해는 시설투자를 중심으로 증가폭이 대폭 늘어났다.

삼성그룹은 평택 반도체라인 건설 및 OLED라인 증설 등에 20조원 이상 투자, 현대차그룹은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립에만 10조원 이상 투자한다.

전경련은 “30대 그룹은 연초 투자 계획(118조4천억원)의 99%를 집행했다”며 “올해 정부가 ‘규제기요틴’ 등 규제 완화 정책과 경제체질 개선에 힘써준다면 30대 그룹은 올해 투자계획 (136조4천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