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하버드, ‘이재현의 한류투자’ 경영교재로 채택

美하버드, ‘이재현의 한류투자’ 경영교재로 채택

입력 2015-03-23 11:53
수정 2015-03-23 11: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류 페스티벌 ‘K-CON’ 투자결정 과정 소개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한류’ 투자 사례가 미국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재에 실렸다.

23일 CJ그룹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전(현지 시각) 하버드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EMBA) 과정 수업에서 ‘CJ E&M : 미국에서 한류 확산하기(CJ E&M : Creating K-Culture in the U.S.)’라는 제목의 하버드 경영 사례 연구집이 교재로 사용됐다.

엘리 오펙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와 김상훈 서울대 경영대 교수가 공동 집필한 이 책에는 2013년 초 이재현 회장이 리스크(위험)를 감수하고 한류 페스티벌 ‘K-CON’에 투자하기로 결정하는 과정이 자세히 담겨있다.

한류의 북미 지역 확산을 위해 기획된 이 행사가 2012년 첫 해 적자를 내자, 당시 이 회장은 투자액이 두 배인 ‘K-CON 2013’를 열어야 하는지를 놓고 고민하다 결국 투자를 감행한 바 있다.

여러 기업의 창업주, 최고경영자(CEO)인 300여명의 최고경영자(EMBA) 과정 수강생들은 이 회장의 결정을 놓고 열띤 토론도 벌였다.

강의에 패널 자격으로 참석한 장용석 CJ그룹 사장은 “우선 수강생들이 민간기업이 직접 한류 투자에 나선 사실에 흥미롭다는 반응을 보였다”며 “수강생 중 창업주가 많아서인지, 상당 수가 리스크를 감수하고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해 투자에 나선 이재현 회장의 결정을 지지했다”고 전했다.

오펙 교수는 투자 규모를 각각 전년의 2배, 4배로 늘린 ‘K-CON 2013’, ‘K-CON 2014’의 실제 실적을 공개하고, 수강생들에게 KCON 투자 결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과 마케팅 전략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이 교재의 첫 문장은 “모든 세계인이 매년 2~3편의 한국 영화를 보고, 매월 1~2번 한국 음식을 먹고, 매주 1~2편의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며, 매일 1~2곡씩 한국 음악을 듣게 하는 것”이라는 이 회장의 ‘한류 비전’으로 시작된다.

이후 본문에서 CJ가 드림웍스 투자를 계기로 엔터테인먼트·미디어 사업에 뛰어든 과정, 1998년 한국 최초의 멀티플렉스 영화관 CGV를 설립한 뒤 6년 만에 한국 영화시장이 3배로 성장한 통계, 디지털 마케팅 등의 효과로 ‘K-CON’ 행사 티켓 판매량이 예상의 두 배를 웃돈 사실 등도 소개했다.

CJ 관계자는 “하버드 케이스 스터디로 선정되면 하버드 경영대학원뿐 아니라 세계 각국 다른 MBA 과정도 이 사례집을 수업 교재로 채택할 가능성이 많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