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의료기기 기업들 6600억원 수출 계약 문형표(왼쪽 두 번째) 보건복지부 장관이 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C홀에서 열린 ‘바이오-메디컬 코리아 2015’에서 심혈관 중재시술 로봇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복지부는 이날 행사에서 국내 의료·제약·의료기기 기업이 러시아·중국 등의 기업과 총 6600억원 규모, 15건의 수출계약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제약·의료기기 기업들 6600억원 수출 계약
문형표(왼쪽 두 번째) 보건복지부 장관이 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C홀에서 열린 ‘바이오-메디컬 코리아 2015’에서 심혈관 중재시술 로봇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복지부는 이날 행사에서 국내 의료·제약·의료기기 기업이 러시아·중국 등의 기업과 총 6600억원 규모, 15건의 수출계약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문형표(왼쪽 두 번째) 보건복지부 장관이 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C홀에서 열린 ‘바이오-메디컬 코리아 2015’에서 심혈관 중재시술 로봇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복지부는 이날 행사에서 국내 의료·제약·의료기기 기업이 러시아·중국 등의 기업과 총 6600억원 규모, 15건의 수출계약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2015-04-0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