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특사 논란에 총수사면 기대한 재벌기업들 ‘촉각’

성완종 특사 논란에 총수사면 기대한 재벌기업들 ‘촉각’

입력 2015-04-28 13:39
수정 2015-04-28 13: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 대한 특별사면 논란이 불거지면서 총수 사면을 기대해온 재벌 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28일 “경제인 특별사면은 납득할만한 국민적 합의가 있어야 가능하다”는 원칙을 재확인함에 따라 기업들은 향후 사면 논의가 어떻게 진행될지 우려 섞인 시선으로 지켜보고 있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과 방산비리, 포스코 사건 등 대형 수사가 잇따라 진행되면서 재벌 총수와 대기업에 대한 여론이 결코 우호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총수 부재가 장기화하는 SK그룹, J그룹 등은 그룹 경영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013년 1월 횡령 혐의로 기소돼 지난해 2월 징역 4년형이 확정돼 2년 3개월째 복역 중이다. 동생인 최재원 부회장도 징역 3년6월이 확정돼 수감생활을 하고 있다.

SK그룹은 내부적으로 석가탄신일 혹은 광복절 특사에 희망을 걸어왔다. 애초 성탄절·설 특사나 3.1절 특사를 기대했으나 지난해 12월 ‘땅콩 회항’ 사건과 함께 반재벌 정서가 확산하면서 물거품이 된 상태다.

현재 분위기로는 특사뿐만 아니라 법무부 장관의 권한인 가석방도 쉽지 않다는 관측이 강하다. 최 회장은 형기 3분의 1을 채워야 하는 가석방 요건을 이미 충족했으며 재벌 총수로서는 역대 최장기 복역 중이다.

SK그룹 관계자는 “최 회장이 하루라도 빨리 나오기를 바라고 있는데, 이런저런 사건이 터져서 내부적으로는 착잡한 분위기”라고 말했다.

SK그룹은 최 회장의 장기수감에 따른 경영공백으로 주요 계열사의 실적이 악화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나마 SK하이닉스가 실적 호조를 이어가고 있지만, 그룹 주력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과 SKK텔레콤 등은 지난해 실적 악화에 시달려야 했다.

현재 SK그룹은 전문경영인으로 구성된 ‘수펙스추구협의회’를 통해 운영되고 있지만, 인수합병(M&A) 등 주요 경영사항 결정 때는 총수 공백의 한계를 드러내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SK네트웍스의 KT렌탈 인수 무산을 들 수 있다.

최근 SK그룹이 ‘옥중 경영’이라는 비판을 감수하면서도 SK C&C와 SK㈜를 합병키로 한 것도 그룹의 지배구조 관련 이슈를 하루빨리 털어내 그룹의 위기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위기의식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재현 회장이 구속수감된 CJ그룹도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지 우려하는 분위기다.

CJ그룹 입장에서는 당장은 상고심 결과에 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별사면의 경우 상고심이 끝나고 형이 확정돼야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CJ그룹 관계자는 “현재 상고심이 진행 중으로 형 확정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면과 (이재현 회장은) 무관하다”며 “재판에 성실하게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앞서 횡령·배임·탈세 혐의 등으로 2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상고했다.

하지만, 만성 신부전증이 있던 이 회장은 현재 고혈압·저칼륨증·단백뇨 증상 등이 나타나고 몸무게가 50㎏ 초반대까지 줄면서 형 집행정지를 신청했으며 법원이 이를 받아들여 올해 7월 21일까지 구속집행정지 결정을 내렸다.

이외에도 2012년 사기성 기업어음(CP) 발행 혐의로 구속된 구본상 전 LIG넥스원 부회장은 징역 4년형을 받고 800일 넘게 수감 중이다. 구 전 부회장 역시 가석방 요건을 모두 채운 상태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인이 충분히 죗값을 치렀다고 판단되면 이후 사회에 복귀해 사회경제에 대한 기여를 통해 나머지 죗값을 치르도록 하는 것도 국가 경제 차원에서는 더 낫다”고 말했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과거에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활동을 지원하도록 하기 위해 이건희 회장에 대한 ‘원포인트’ 사면이 있었다”면서 “성완종 전 회장의 사면 논란과 다른 재벌 총수들의 사면을 같은 연장 선상에서 보면 안 된다”고 말했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