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생산비용 40%↓… 전기료 내릴까

전기생산비용 40%↓… 전기료 내릴까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5-05-12 17:58
수정 2015-05-13 02: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유가 하락·발전소 증가

연이은 저유가와 발전소 증가 등으로 올 들어 전기 1㎾h를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이 1년 전보다 40%가량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원가상승 등을 이유로 해마다 인상만을 거듭했던 전기요금에 대한 인하 요구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12일 전력거래소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평균 1㎾h당 143.5원이었던 계통한계가격(SMP)이 이달 들어 ㎾h당 평균 90원대를 기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3일에는 91.1원까지 떨어지며 80원대 진입을 코앞에 두기도 했다. SMP란 전력시장의 도매가격으로 이를 기준해 한전은 각 발전소로부터 전기를 구매한다. 긴 연휴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하락을 제외하고 SMP가 ㎾h당 100원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09년 9월(82.9원) 이후 5년 7개월 만이다. 지난해 12월 ㎾h당 143.5원이던 SMP는 올해 1월 140.1원, 2월 118.5원, 3월 118.0원, 4월 103.2원까지 떨어지는 등 연이어 급락 중이다. 도매가격이 내렸으니 한전 입장에선 그만큼 생산비용이 줄었다는 얘기다.

이런 변화는 최근 이어진 국제유가 하락에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등이 인하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신규 발전 시설에 투자가 몰리면서 공급이 확대된 것도 또 다른 이유다. 지난해 상반기 이후 영흥석탄화력 5·6호기를 비롯해 동두천LNG복합화력, 포스코에너지 LNG복합화력 7·8·9호기, 율촌 LNG복합화력 2호기 등 8기가와트(GW) 규모의 발전소가 새롭게 시장에 진입했다. 공급 증가로 1년 전 12%대에 머물던 전력 공급예비율도 최근 20%대로 상승했다.

이런 추세에 맞춰 전기요금을 인하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거세다. 2007년 이후 정부는 지난해를 제외하고 해마다 전기요금을 인상해 왔다. 전기요금이 생산 원가보다 낮고 기름, 가스 등 다른 에너지 가격에 비해 싸다는 이유에서다.

정부 관계자는 “한번 내리면 이후 다른 요인으로 요금을 인상할 때 거센 반대 여론에 부딪힐 수 있는 만큼 신중할 수밖에 없다”면서 “인하 방침은 물론 인하율도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답했다. 하지만 시장에선 벌써 구체적인 인하율까지 거론된다. 하나대투증권은 전기요금이 7월쯤 평균 4%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신민석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4% 인하를 해도 올해 한전의 영업이익은 7조 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2.9%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5-05-1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