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요금 뒤엔 통신 거인들의 ‘치킨게임’

데이터 요금 뒤엔 통신 거인들의 ‘치킨게임’

입력 2015-05-21 09:00
수정 2015-05-21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T는 유선시장 축소 감수하고 SKT는 접속료 부담 떠안고

데이터 요금제 출시 이면에는 유·무선통신 거인이라 할 수 있는 KT와 SK텔레콤의 치열한 수싸움이 있다. ‘치킨게임’이라 할 만큼 양보없는 경쟁이다.

KT는 유선전화 시장 축소를 예상하고도 업계 최초로 이동전화 음성 통화를 무료화했고, SK텔레콤은 요금제 전구간에서 유·무선 음성 통화를 무제한 제공하기로 해 접속료 부담을 떠안았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KT의 유선통신 서비스(시내전화+인터넷 전화) 가입자는 1천697만여명으로 전체 시장의 64.2%를 차지했다. 유선통신 가입자 3분의 2가 KT 전화를 쓴다.

LG유플러스 가입자는 494만여명(18.7%), SK브로드밴드 가입자는 450여만명(17.1%)으로 뒤를 잇는다.

유선통신 서비스 가입자는 2012년 말 2천706만여명에서 작년 말 2천655만명으로 완만하게 감소했다. 데이터 요금제 출시를 계기로 감소세가 뚜렷해질 것이란 게 업계 관측이다.

집 전화, 사무실 전화를 주로 쓰던 시대가 끝났다는 뜻이다.

KT는 유선 시장의 최강자이면서도 데이터 통신에 미래 성장동력이 있다고 보고 업계에서 가장 먼저 이동전화 음성 통화를 무료 제공하는 요금제를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SK텔레콤은 또 다른 승부수를 던졌다. 경쟁사와 차별화를 위해 월 2만9천900원만 지불해도 유·무선 통화를 무제한 제공하기로 하면서 KT에 지불해야 하는 접속료 부담을 떠안은 것이다.

접속료는 망외 통화시 발신 측 사업자가 착신 측 사업자에 통신망을 이용한 대가로 내는 비용이다.

SK텔레콤의 데이터 요금제 가입자가 KT의 유선 서비스 가입자에 전화하면 SK텔레콤은 자사 가입자로부터 요금을 받지 못하면서 KT에 분당 수십원의 접속료를 지급해야 한다.

이 ‘치킨게임’에서 KT와 SK텔레콤 가운데 누가 웃게 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유선 시장의 축소와 상호 접속료 자체가 서로 무관치 않은 이슈이기도 해서 예상이 쉽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가입자들의 통신비 인하 요구와 정부 압력에 못 이겨 앞다퉈 새 요금제를 출시했지만 이제와서 보니 제 살 깎아 먹기 아니었나 싶기도 해 씁쓸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