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창출 능력 3년연속 하락

고용창출 능력 3년연속 하락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5-06-02 23:38
수정 2015-06-03 03: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은행 2013 산업연관표

우리 경제의 고용 창출 능력이 갈수록 약해지고 있다. 일자리 창출은 소비가 수출의 두 배였다.

한국은행이 2일 내놓은 ‘2013년 산업연관표 작성 결과’에 따르면 전체 평균 취업유발계수는 2010년 13.9명에서 2013년 13.1명으로 떨어졌다. 취업유발계수란 10억원 상당의 재화나 서비스가 만들어질 때 직간접으로 창출되는 일자리 수를 말한다. 이 수치가 클수록 고용창출 능력이 높다고 여겨진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림수산품(32.9명)이 가장 높았다. 이어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26.1명), 사업지원서비스(30.7명), 문화 및 기타서비스(25.8명) 등 서비스 분야의 고용창출 능력이 뛰어났다. 반면 석탄 및 석유제품(1.7명), 전력·가스·증기(2.2명), 1차금속제품(4.8명), 전기 및 전자기기(5.1명), 화학제품(5.9명) 등 제조업과 에너지 분야는 고용창출 효과가 낮았다.

고용은 수출보다 소비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발된 취업자 수 비중을 보면 소비는 2013년 총 취업자의 절반이 넘는 55.2%를 유발했다. 수출은 26.1%, 투자가 18.7%다. 소비의 취업유발계수는 2013년 15.5명으로 투자(13.4명)보다 많았고, 수출(7.8명)의 두 배 수준이다. 다만, 소비의 취업유발계수는 2012년 대비 0.2명 줄어든 반면 수출의 투자유발계수는 2012년 대비 0.2명 증가했다.

2013년 우리 경제의 재화와 서비스 총공급은 4207조원이다. 이중 수출과 수입을 합친 대외거래가 1478조 2000억원으로 전체의 35.1%를 차지했다. 전년(36.2%)보다 비중이 줄었다. 4년 만의 하락이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5-06-0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