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0년전의 30배…유니클로 성공 비결은

매출 10년전의 30배…유니클로 성공 비결은

입력 2015-06-05 07:48
수정 2015-06-05 07: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2년간 연평균 30%대 성장…국내 의류는 마이너스 성장

국내 의류시장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SPA(제조·유통 일괄형) 브랜드인 유니클로는 매년 큰 폭의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5일 의류업계에 따르면 유니클로의 2013회계년도(2013년 9월∼2014년 8월) 매출액은 2005년의 300억원과 비교해 30배가량 증가했다.

유니클로의 최근 3년 매출액은 2011회계년도 5천49억원, 2012회계년도 6천940억원, 2013회계년도 8천954억원 등 꾸준히 연평균 30%대의 성장세를 유지했다.

영업이익도 2011회계년도 642억원, 2012회계년도 768억원, 2013회계년도 1천77억원 등 상승세를 이어갔다.

유니클로뿐 아니라 자라와 H&M 등 다른 글로벌 SPA 브랜드도 국내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다.

자라는 올해(2014년 2월∼2015년 1월) 2천369억원의 매출을 올려 지난해의 2천273억원에 비해 4.2% 증가했으며, H&M도 지난해(2013년 12월∼2014년 11월) 1천383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그전 회계년도(1천226억 원)보다 매출이 12.8% 상승했다.

2014년 기준 3개 SPA 브랜드의 국내 매출 합계는 1조2천453억원으로, 전년대비 22% 성장했다.

반면 국내 전체 의류 소비는 지난 2013년 2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하며 마이너스 성장세로 전환된 후 줄곧 역신장하고 있다.

한국은 유니클로가 진출한 국가 중 일본,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매출이 높은 시장이다.

유니클로의 한국 성공 배경으로는 다양하고 저렴한 의류를 공급한다는 점과 모바일과 온라인 몰이 활성화돼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불황으로 얇아진 주머니 때문에 사람들은 기존 백화점 브랜드보다 SPA 브랜드를 찾게 됐다.

유니클로는 일상생활에서 입을 수 있는 제품부터 ‘에어리즘’, ‘히트텍’, ‘울트라라이트다운’(초경량 다운 패딩) 등 신소재 상품까지 판매하고 있다.

또 유명 디자이너나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의 상품을 내놓기도 한다.

가격도 저렴해 티셔츠는 1~2만원대, 바지는 3~4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다.

비교적 일찍 온라인 스토어를 연 것도 성공 배경으로 꼽힌다.

유니클로는 2009년 9월 온라인 스토어를 열었으며 2013년 12월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해 소비자들이 온라인과 스마트폰을 이용해 손쉽게 쇼핑을 할 수 있게 했다.

또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모바일을 연결해 가장 가까이 있는 유니클로 매장을 찾을 수 있는 ‘위치 기반 매장 찾기’나 제품의 바코드를 스캔해 제품명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캔’ 기능도 있다.

유니클로 관계자는 “유니클로 제품들은 기획에서 판매까지 총 9개월 이상이 소요되며 각 부분이 세밀하게 관리된다”며 “또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모바일을 하나로 연결하는 옴니 채널 활성화를 통해 소비자의 편의를 극대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