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불안… 돈 안 쓰고 저축” 정부보다 더 지갑 닫은 가계

“미래 불안… 돈 안 쓰고 저축” 정부보다 더 지갑 닫은 가계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5-06-23 18:00
수정 2015-06-24 02: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분기 가계 여윳돈 3년 만에 최대

당장의 빚 부담과 미래의 노후 불안 등으로 가계가 돈을 더 벌어도 쓰지 않고 저축하고 있다. 가계의 여윳돈은 3년 만에 가장 많고 총저축률은 15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었다. 가계가 정부보다 저금을 더 많이 하는 ‘역전’ 현상도 벌어졌다.

23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2015년 1분기 자금순환’(잠정)에 따르면 가계(비영리단체 포함)가 올 1분기 중 예금취급기관에서 빌려온 돈(조달)은 14조 2000억원으로 전 분기(30조 8000억원)의 절반 수준이다. 예금, 보험 및 연금 등의 자금 운용은 43조 7000억원으로 전 분기(45조 3000억원)보다 줄었다. 운용액이 줄었지만 빌려온 돈(조달액)이 더 크게 줄어들면서 운용액에서 조달액을 뺀 자금잉여는 29조 6000억원을 기록했다. 전 분기(14조 5000억원)의 두 배 수준이다. 2012년 1분기 31조 5000억원 이후 최고치이기도 하다. 문소상 한은 자금순환팀장은 “가계소득 증가가 잉여자금 확대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씀씀이를 줄여 여윳돈이 불어난 측면도 있다. 민간소비는 1분기에 전기 대비 0.6% 증가에 그쳤다. 2013년 4분기(0.6%) 이후 계속 0%대 증가율이다. 부채 수준 자체도 높다. 올 3월 말 현재 자영업자를 포함한 가계의 금융부채는 1309조원이다. 지난해 말보다 14조원 늘었다. 같은 기간 금융자산이 더 많이(81조 3000억원) 불었음에도 가계가 쉽게 지갑을 못 열고 있는 것이다. 돈을 안 쓰다 보니 저축도 늘었다. 올 1분기 총저축률은 36.5%로 전 분기(34.7%)보다 1.8% 포인트 높아졌다. 1분기 기준으로는 1998년 1분기(40.6%)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다. 이 중 정부 저축률은 재정 악화 등으로 떨어진 반면 가계 저축률은 소비 위축 등의 영향으로 높아졌다. 이 때문에 지난해 가계 저축률(7.1%)이 1999년 이후 처음으로 정부 저축률(6.9%)을 앞질렀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5-06-2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