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근로자 절반 “근로계약서 안 쓰고 일한다”

‘알바’ 근로자 절반 “근로계약서 안 쓰고 일한다”

입력 2015-06-29 11:29
수정 2015-06-29 11: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대보험 보장받는다” 28%에 그쳐

아르바이트 노동자 절반 이상은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고 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은 현재 아르바이트 중인 1천437명을 대상으로 근로기준법 이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53.5%가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고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는 이유로는 응답자의 65.4%가 ‘고용주가 얘기해주지 않아서’라고 답했다. ‘번거롭고 별 필요성을 못 느껴서’는 18.9%, ‘근로계약서를 써야 하는지 몰랐다’도 15.2%의 응답률을 보였다.

필수 근로조건 중 하나인 4대보험 가입을 보장받은 아르바이트생은 28.3%에 불과했다. 추가 근무수당과 휴일수당을 보장받는다고 답한 아르바이트생은 33.4%였다

근로계약서 작성에 대한 실태는 고용주 59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르바이트 근로계약서 작성에 관한 생각을 물었을 때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고 답한 고용주는 47.6%에 그쳤다.

’작성은 해야 하지만 매번 하기 번거롭다’는 답변은 35.7%에 달해 근로계약서 작성에 대한 고용주들의 부담감을 드러냈다. 13.1%는 ‘굳이 작성할 필요가 있나 싶다’, 3.7%는 ‘작성해야 한다는 사실조차 몰랐다’고 말했다.

기업 규모에 따라 인식차도 컸다. ‘근로계약서를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대기업 77.1%, 중견기업은 61.9%였다.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응답률은 각각 54.3%와 40.2%에 그쳤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