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스마트폰 보급률 83.0%…세계 4위”

“한국, 스마트폰 보급률 83.0%…세계 4위”

입력 2015-07-08 09:21
수정 2015-07-08 09: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T경제경영연구소 ‘2015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 보고서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세계 네 번째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KT경제경영연구소는 8일 내놓은 ‘2015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 보고서에서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지난 3월 기준으로 83.0%에 달해 아랍에미리트(UAE·90.8%), 싱가포르(87.7%), 사우디아라비아(86.1%)에 이어 세계 4위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KT가 시장조사 기관인 TNS인프라테스트와 구글의 자료를 인용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56개국 성인 인구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평균 약 60%에 달했다.

UAE, 싱가포르, 사우디, 한국과 함께 스웨덴(82.8%), 스페인(79.6%), 홍콩(78.9%), 노르웨이(78.9%), 대만(78.3%), 호주(77.1%)가 스마트폰 보급률 상위 10위에 포진했다.

이어 네덜란드(75.7%), 이스라엘(75.5%), 아일랜드(75.0%), 덴마크(74.3%), 중국(74.0%), 뉴질랜드(72.3%), 스위스(72.0%), 영국(71.1%), 말레이시아(70.8%), 미국(70.8%) 순으로 집계됐다.

보급률 증가 측면에서 신흥시장의 증가세가 확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보급률 63.7%)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보급률이 23.7%p 늘어나 증가율 1위를 차지했다. 브라질, 말레이시아, 베트남, 폴란드, 아르헨티나, 터키, 러시아, 인도네시아도 증가율 15~20%p로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불가리아, 멕시코, 헝가리, 필리핀, 라트비아 역시 보급 증가율이 10~15%p에 달해 비교적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에 이어 새로운 큰 손으로 떠오른 인도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0%p 상승한 33.1%로 올라섰다. 상반기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축이 신흥시장으로 이동한 현상이 두드러진 것이다.

반면, 한국을 비롯해 싱가포르, 영국, 중국의 증가율은 5%p에 못 미쳐 성장이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KT경제경영연구소는 상반기 모바일 관련 추세로 ▲ 태블릿PC 시장의 감소 ▲ 손목형 웨어러블 단말 시장의 개화 ▲ 가상현실(VR) 단말 도입 확대 ▲ 반려동물 역할을 하는 로봇의 현실화 ▲ 왓츠앱 등 모바일 인스턴트메신저(IM)의 핵심 플랫폼화 ▲ 구매버튼(Buy Button) 추가를 통한 소셜미디어 사이트의 수익 확대 본격화 ▲ 미어캣 등 모바일 개인 방송의 부상 ▲ 대화형 커머스 서비스 확대 ▲ 온·오프라인을 잇는 쇼핑 경험 제공을 위한 옴니채널 확대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급성장 ▲ 유료 TV가입자 감소 등을 꼽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