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양희 미래장관 “단통법으로 시장 위축됐단 건 오해”

최양희 미래장관 “단통법으로 시장 위축됐단 건 오해”

입력 2015-07-19 12:03
수정 2015-07-19 1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단통법, 차별 해소에 효과…제4이통사 생기면 요금 합리화에 기여할 것”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17일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으로 통신 시장이 위축되고 또 다른 차별을 가져왔다는 건 상당 부분 오해”라고 말했다.

최 장관은 이날 정부과천청사 인근 식당에서 취임 1주년(15일)에 즈음해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단통법이) 초기 목적인 이용자 차별 해소를 달성한 것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애플과의 관계에서도 마켓 트렌드를 보면 단통법의 영향이 있었다는 건 과장된 해석 아닌가 싶다”고 덧붙였다.

단통법으로 신형 단말기 판매 시장이 위축됐다거나 애플 휴대전화가 단통법 후 많이 팔려 단통법의 수혜를 봤다는 지적 등이 있지만 통계를 보면 단통법 이전부터 진행돼온 시장의 큰 흐름이거나 전 세계적인 추세라는 얘기다.

최 장관은 추진 중인 제4 이동통신사업자에 대해 “제4 이통이 기여할 부분은 서비스·품질의 다양화도 있지만 요금 합리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4 이통사의 가장 큰 정책적 타깃이 가계통신비 인하에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 장관은 이어 “이동통신의 활용이 음성통화에 그치는 게 아니라 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등 무한한 잠재력이 있다”며 “통신은 산업 인프라로서 여러 역할을 하는데 신규 사업자가 들어와서 선도적 역할을 해준다면 우리 이통산업이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성장을 하고 리더십을 발휘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최 장관은 제4 이통사에 대한 추가적 정책 지원 가능성과 관련해선 “이것만으로도 옛날보다 진전된 것이란 평가가 있다”며 “너무 많으면 역차별이 발생할 수도 있어서 적정한 부분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결정된 700㎒ 주파수 대역의 배분안을 두고 ‘정치권의 입김에 휘둘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 최 장관은 “이런 게 반복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지만 미래부는 적절히 대응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주파수) 소위에서 여러 차례 회의를 진행한 것은 기본적으로 방송사가 여러 개고, 의견이 다를 수 있는 상황에서 국회가 방송사를 대변해서 정부와 얘기해준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초고화질(UHD) TV 방송 산업에서 전 세계적 리더십을 발휘하겠다는 의지도 거듭 밝혔다.

그는 “(UHD 분야에서) 한국의 리더십을 확보하고, 어떤 순서로 누가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종합적인 (UHD 방송의) 정책·전략이 나오게 될 것”이라며 “미래부는 K-ICT에서 UHD를 하나의 산업으로 발전시키겠다고 (이미) 했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지난 1년간 추진한 정책 중 국민에게 가장 피부에 와 닿을 만한 일로 “미래에 대한 개념과 생각하는 문화를 바꾼 것”을 꼽았다.

그는 “도전하고 새로운 것을 추진했을 때 밝은 미래가 있다는 것(을 일깨운 일), 데이터 요금 등 피부에 와닿는 것 있겠지만 국민에게 희망의 트랙, 길을 제시한 것에 가장 큰 의미를 주고 싶다”고 말했다.

하반기와 내년에 역점을 둬 추진할 사업을 묻는 질문에는 “이미 발표한 정책들을 실효성 있는 전략을 세워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것, 하나하나의 정책을 가치 있게 성과 내는 것, 좋은 일자리 만드는 데 역할하는 것 등을 위해 직원과 합심해 달려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지금까지는 집을 지었다면 지금부터는 집을 잘 채워서 가치를 높이는 본질적인 일에 집중할 것”이라고도 했다.

최 장관은 총선 출마 가능성에 대해 “미래부는 지금 엄중한 상황에 있고 할 일이 산적해 있다. 앞길만 보고 나가도 시간이 부족하다”며 “출마는 생각할 겨를도 없고 전혀 염두에 두고 있지 않다”고 일축했다.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이 소폭 줄어든 것과 관련해서는 “예산 효율화 과정에서 총 3천억원이 마이너스됐는데 찾아야 한다. 증액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