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선 회장 부친 묘소’ 담보로 시세의 6배 설정하고 경매까지

대부분은 금융권에서 관행처럼 소리 소문 없이 벌어지는 일들이지만 최근에 우연히 딱 걸린 사례도 있습니다. 최근 정몽선 현대시멘트 회장이 소유하고 있는 경기도 광주 선산이 경매에 나왔습니다. 정몽선 회장은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의 조카로, 이 선산엔 정몽선 회장의 부친(정순영) 묘소가 있죠.
그런데 이 대출이 심상치 않습니다. 7만 2275㎡(2만여평) 규모의 이 땅은 공시지가가 4억 7000만원입니다. 이 토지를 담보로 돈을 빌려준 KB캐피탈(당시 우리파이낸셜)은 무려 50억원을 내줬습니다. 담보대출은 감정가를 근거로 산출되는데 감정가는 보통 시세 언저리에서 책정됩니다. 전문가들이 추산하는 이 땅의 시세는 대략 8억~9억원입니다. 시세보다 최대 6배나 비싸게 돈을 빌려준 거죠. 이를 두고 금융권에선 “현대가의 후광에 기대 무리하게 거액의 돈을 빌려주더니 무덤에까지 빨간딱지를 붙였다”고 수군댑니다.
KB캐피탈 측은 “다른 담보 물건이 경매에서 여러 차례 유찰돼 담보 가치가 하락하면서 추가로 선산을 담보로 설정한 것”이라고 해명하고 있죠. 그래도 뒷맛이 개운치 않습니다. 조상의 묘지가 있는 선산은 낙찰을 받아도 이장 문제 때문에 적잖이 송사에 휘말립니다. 경매시장에선 투자자들이 입찰조차 꺼리는 물건이죠. KB캐피탈이 정몽선 회장 선산을 경매에 부쳐도 돈을 회수하기 어렵다는 것이 대부분의 시각입니다. KB캐피탈은 “선산까지 경매에 나왔으니 현대그룹 측에서 어떻게든 대출금을 상환해 주지 않겠느냐”며 실낱같은 희망을 걸고 있죠. 어찌됐든 조상 묘소까지 경매에 부쳤다는 세간의 따가운 시선은 KB캐피탈이 감당해야 할 몫이 됐습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7-2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