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곤혹스러운 KB캐피탈

[경제 블로그] 곤혹스러운 KB캐피탈

이유미 기자
입력 2015-07-27 22:56
수정 2015-07-28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몽선 회장 부친 묘소’ 담보로 시세의 6배 설정하고 경매까지

은행에서 15년 동안 근무한 A은행 차장은 사석에서 이런 얘기를 털어놨습니다. 10여년 전 서울의 부촌에 위치한 영업점으로 발령을 받아 전임자에게 업무 인수인계를 받던 중 ‘수상한 대출’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차주의 신용도나 담보 상황을 감안하면 은행에선 절대 대출 승인이 날 수 없는 거액의 금액이 나가 있었던 거죠. 전임자는 살짝 귓속말로 얘기했다고 합니다. “전직 대통령의 친인척에게 나간 대출”이라구요. 서민들에겐 높기만 한 은행 문턱도 거물급 인사에겐 ‘프리 패스’가 적용되는 세상입니다.

대부분은 금융권에서 관행처럼 소리 소문 없이 벌어지는 일들이지만 최근에 우연히 딱 걸린 사례도 있습니다. 최근 정몽선 현대시멘트 회장이 소유하고 있는 경기도 광주 선산이 경매에 나왔습니다. 정몽선 회장은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의 조카로, 이 선산엔 정몽선 회장의 부친(정순영) 묘소가 있죠.

그런데 이 대출이 심상치 않습니다. 7만 2275㎡(2만여평) 규모의 이 땅은 공시지가가 4억 7000만원입니다. 이 토지를 담보로 돈을 빌려준 KB캐피탈(당시 우리파이낸셜)은 무려 50억원을 내줬습니다. 담보대출은 감정가를 근거로 산출되는데 감정가는 보통 시세 언저리에서 책정됩니다. 전문가들이 추산하는 이 땅의 시세는 대략 8억~9억원입니다. 시세보다 최대 6배나 비싸게 돈을 빌려준 거죠. 이를 두고 금융권에선 “현대가의 후광에 기대 무리하게 거액의 돈을 빌려주더니 무덤에까지 빨간딱지를 붙였다”고 수군댑니다.

KB캐피탈 측은 “다른 담보 물건이 경매에서 여러 차례 유찰돼 담보 가치가 하락하면서 추가로 선산을 담보로 설정한 것”이라고 해명하고 있죠. 그래도 뒷맛이 개운치 않습니다. 조상의 묘지가 있는 선산은 낙찰을 받아도 이장 문제 때문에 적잖이 송사에 휘말립니다. 경매시장에선 투자자들이 입찰조차 꺼리는 물건이죠. KB캐피탈이 정몽선 회장 선산을 경매에 부쳐도 돈을 회수하기 어렵다는 것이 대부분의 시각입니다. KB캐피탈은 “선산까지 경매에 나왔으니 현대그룹 측에서 어떻게든 대출금을 상환해 주지 않겠느냐”며 실낱같은 희망을 걸고 있죠. 어찌됐든 조상 묘소까지 경매에 부쳤다는 세간의 따가운 시선은 KB캐피탈이 감당해야 할 몫이 됐습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7-2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