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올레드 중심 투자 전환”

LG디스플레이 “올레드 중심 투자 전환”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5-08-17 23:34
수정 2015-08-18 02: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8년까지 10조 이상 투자”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는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다.”

이미지 확대
한상범 LG디스플레이 사장
한상범 LG디스플레이 사장
올해 액정표시장치(LCD) 생산 20주년을 맞은 LG디스플레이가 올레드로의 투자 중심 이동을 선언했다. 한상범 LG디스플레이 사장은 17일 경기 파주시에 위치한 LG디스플레이 공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레드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집중 육성할 것”이라면서 “2018년까지 대형 및 플렉시블 올레드를 중심으로 10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 사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이 디스플레이산업에서 경쟁국의 추격을 뿌리치고 지속적으로 시장의 헤게모니를 쥐고 가기 위해 올레드는 반드시 개척하고 선점해야 할 시장”이라며 조기 시장 선점에 나설 것을 선언했다. 올레드는 기존 LCD에 비해 화질과 디자인 측면에서 앞서며 미래 디스플레이 제품을 구현하는 데 최적의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LG디스플레이가 올레드를 차세대 먹거리로 점찍은 것은 기존 LCD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는 진단에 기반한다. 실제로 기존 LCD 시장의 성장 속도가 한풀 꺾인 가운데 중국, 일본, 대만 등 국가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 업체들은 최근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투자를 추진하면서 전 세계 LCD 생산 점유율이 올해 16% 수준에서 2020년 27% 수준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1995년 시장에 뛰어들어 세계 대형 LCD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LG디스플레이의 자리도 위협받고 있다.

반면 올레드는 기술 진입 장벽이 높아 한국을 제외한 다른 업체들이 양산 단계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는 지난해 87억 달러 규모였던 올레드 시장이 2022년 28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처럼 전망이 밝은 올레드 시장을 선점해 후발 주자들의 추격을 따돌린다는 것이 LG디스플레이의 복안이다.

LG디스플레이는 대형 올레드의 경우 종이처럼 얇은 월페이퍼 디스플레이와 투명 TV 등 프리미엄 제품군에서의 지배력을 강화하고, 중소형 올레드에서는 플렉시블 올레드에 집중해 웨어러블(스마트워치 등 착용하는 스마트기기) 시장에서 1등을 달성하는 게 목표다. 또한 고객사와 장비 및 소재업체 등과의 협업을 강화한다. 한 사장은 “올레드 장비와 재료, 부품이 연계된 올레드 에코 시스템을 완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8-1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