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망한다고들 하는데”…최경환 부총리 생각은

“한국경제 망한다고들 하는데”…최경환 부총리 생각은

입력 2015-09-20 12:04
수정 2015-09-20 14: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들에게 불안감보다는 자신감 줘야” S&P의 한국 신용등급 상향 조정 뒷얘기 공개

“외환보유액, 재정상황 등 한국 경제지표는 같은 국가 신용등급을 받는 나라들과 차원이 좀 다르지 않습니까. 등급을 한 단계 올려주길 기대하겠습니다.”(최경환 부총리)

”우리가 보는 포인트(관점)는 좀 다릅니다. 한국 신용등급에는 남북 긴장 관계를 크게 반영할 수밖에 없어요.”(모리츠 크래머 S&P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

이미지 확대
최경환 부총리 모두발언
최경환 부총리 모두발언 청와대와 정부, 새누리당이 20일 오전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를 개최, 최경환(가운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취임 후 1년간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관계자들을 4차례 만나 한국 경제의 기초여건(펀더멘털)을 설명한 일화를 공개했다.

18~19일 거제도 대명리조트에서 한국개발연구원(KDI) 주관으로 열린 기획재정부 출입 기자단 세미나와 간담회에 자리에서다.

최 부총리는 국가 신용등급을 매길 때 칼같이 정확하고 까다로운 태도를 유지해 ‘가위손’이라는 별명이 붙은 크래머 S&P 총괄만 3차례 만났다고 한다.

최 부총리가 직접 나선 네 차례의 ‘도전’ 끝에 S&P는 지난 15일 한국 국가신용등급을 AA-로 한 단계 올렸다.

최 부총리 입장에선 3전(顚)4기(起)인 셈이다.

S&P가 한국에 더블에이(AA-) 등급을 준 것은 외환위기 직전인 1997년 8월 이후 18년 만이다.

3대 국제 신용평가기관 가운데 무디스와 피치는 한국 신용등급을 이미 외환위기 전 수준으로 회복시킨 상태였지만 보수적 성향의 S&P만 이보다 한 단계 낮은 등급을 주고 있었다.

최 부총리는 “이번 등급 상향에는 노동개혁과 남북 고위급 회담 타결이 주요 영향을 미친 모멘팀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S&P의 한국 신용등급 상향 조정 소식은 지난 15일 오후 기재부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국정감사를 받던 중 외신을 통해 먼저 알려졌다.

야당 의원들이 국가부채와 세수 결손 문제 등을 집중 거론하면서 추궁의 수위를 높이고 있을 때였다.

가뭄에 단비처럼 쏟아진 국가신용등급 상향 소식으로 수세에 몰리던 최 부총리는 “우리 신용등급에 인색했던 S&P가 재정건전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한 것 아닙니까”라고 반문하면서 어깨를 폈다.

최 부총리는 “국가 신용평가 등급은 사상 최고인데 (일각에선 한국) 경제 망한다고들 한다”며 “자만하자는 게 아니라 국민들이 불안감이 아니라 좀 더 자신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와 미국 금리 인상 등으로) 진짜 위기가 올 수 있다”면서 “경제 주체들의 심리가 위축될 수 있는 상황에서 S&P의 신용등급 상향은 우리 경제가 객관적으로 봤을 때 선방하고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국감을 받는 와중에 공격을 많이 받다 보니 정신적으로 조금 피곤하다”면서도 “다 지나가는 바람이고, 정치인은 얻어맞으면서 큰다는 얘기가 있지 않나”라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국감은 국회가 국민 입장에서 정부가 잘했나 못했나를 보는 하나의 과정”이라며 “우리 경제가 어려운 상황을 잘 헤쳐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 경제에 여러 고비가 많았습니다. 지금도 중국 시장불안에 미국 금리문제다 해서 여러 가지 (고비가) 있습니다. 대한민국 경제가 안 어려울 때가 없었죠. 그러나 우리는 다 헤쳐왔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 가지면 아무리 어려워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IMF 외환위기도 겪었고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후유증이 아직도 남아있지만 국면마다 다 떨치면서 지금까지 왔어요. 노동시장 등 4대 부문 구조 개혁도 한 걸음씩 극복한다면 경제적 어려움을 다 이겨내고 더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