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3분기 ‘7조’ 영업이익 분석
삼성전자가 반도체와 환율 덕에 3분기 영업이익 7조원을 돌파하며 완연한 ‘V자 반등’을 기록했다.
이 같은 호실적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부품(DS) 부문이 선전한 가운데 환율 효과까지 더해졌기 때문이다. DS 부문의 3분기 영업이익은 4조 600억원으로 3분기 삼성전자 전체 영업이익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DS 부문 중 반도체만 놓고 보면 영업이익은 3조 66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인 2010년 3분기(3조 4200억원)를 훌쩍 뛰어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반도체 매출은 12조 8200억원으로 지난 2분기에 이어 역대 최고치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의 경우 대부분 달러로 결제되는데 달러 대비 원화 약세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덕을 봤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반도체는 주력인 D램 가격 약세에도 불구하고 지난 9월 초 20나노미터 미세공정 전환이라는 기술 우위까지 실현되면서 호실적을 이끌었다.
삼성전자 내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아이티·모바일(IM) 부문 영업이익은 2조 4000억원이다. 전 분기의 2조 7600억원보다 줄었다. 신제품이 대거 출시됐지만 중저가 제품의 판매 비중이 늘면서 이익이 줄었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 내 소비자가전(CE) 부문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 분기보다 1500억원 정도 많아진 3600억원이다. 프리미엄 TV가 많이 팔렸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의 시설 투자를 단행한다고 밝혔다. 반도체 15조원, 디스플레이 5조 5000억원 등 총 27조원 규모로 지난해보다 14% 많아졌다.
한편 LG전자는 지난 3분기 영업이익(연결기준)이 전년 동기보다 36.8% 감소한 294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생활가전 쪽은 흑자 전환했지만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하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CM) 쪽은 적자 전환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10-3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