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박’ 행진 한미약품… ‘적자에도 R&D투자’ 뚝심 통했다

‘초대박’ 행진 한미약품… ‘적자에도 R&D투자’ 뚝심 통했다

입력 2015-11-09 16:54
수정 2015-11-09 16: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R&D 투자액만 매출액의 20%…경쟁 제약사들은 10% 안팎

한미약품이 다국적제약사와 약 5조원 규모의 신약 수출계약을 맺은 지 나흘만에 또 다시 ‘잭팟’을 터뜨렸다. 제약업계에서는 적자 누적에 따른 투자자들의 반발 속에도 도리어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린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의 뚝심경영이 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미약품은 9일 글로벌 제약업체 얀센에 약 1조원 규모의 비만·당뇨 신약 파이프라인(후보물질)의 기술을 수출했다고 밝혔다. 1주일 사이에만 약 6조원대에 달하는 ‘초대박’ 수출계약을 잇따라 체결한 셈이다.

이런 한미약품의 저력은 줄기찬 R&D 투자에서 나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미약품은 외환위기(IMF)에도 2000년 이후 본격적으로 R&D 투자를 늘리기 시작했다.

그러다 2010년에는 창사 이래 첫 적자까지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단기 성과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투자자는 물론 회사 내부에서도 R&D 투자를 줄여야 한다는 의견을 나왔다. 그러나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은 R&D 투자를 향한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임 회장은 중앙대 약학과를 졸업하고 1967년 서울 종로에서 ‘임성기 약국’을 열어 자금을 모았다. 1973년에는 ‘임성기제약’을 설립했고 그 해에 상호를 한미약품으로 바꾼 뒤 지금까지 회사를 이끌어왔다.

임 회장은 ‘신약 개발이 목숨과도 같다’는 확고한 신념을 밝혀 왔다.

그 신념이 외부의 비판에도 흔들리지 않았던 이유다.

의약품 분야는 대표적인 고위험 고수익 종목으로 꼽힌다.

글로벌 신약을 만들기만 하면 엄청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연구·개발, 임상시험 등에 드는 비용이 천문학적이고 중도에 실패할 확률도 높다.

보건의료 분석평가 전문 사이트 팜스코어의 자료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올 상반기 946억원을 R&D에 투자해 국내 상장사 가운데 가장 많은 R&D 비용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매출액의 20.6%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런 R&D 지출은 국내 경쟁사들을 압도한다. 대웅제약(471억원·11.9%), 녹십자(447억원·10.7%), 유한양행(304억원·5.9%), JW중외제약(141억원·6.5%) 등의 R&D 지출은 한미약품의 절반 이하 수준이다.

올해 계약 성과는 임 회장의 화끈한 투자가 제 몫을 다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3월에는 항암 신약 ‘포지오티닙’을 수출했고(스펙트럼·금액 미공개), 같은 달 면역질환 치료제 ‘HM71224’를 총액 7천800억원(일라이릴리)에, 7월에는 내성표적 항암신약 ‘HM61713’을 8천500억원(베링거인겔하임)에 기술 수출한 바 있다.

여기에 5일 계약한 ‘퀀텀 프로젝트’(5조원·사노피), 이날 계약한 당뇨·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HM12525A’(1조원·얀센) 등의 성과를 더하면 최근 10년 동안의 R&D 투자금(9천333억원)이 작게 느껴질 정도다

한미약품은 “2000년 이후 주력한 R&D 투자가 이제야 빛을 보고 있는 것”이라며 “아직도 개발 중인 신약 후보물질이 20여개나 남아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