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없다’는 광주시, 못쓰고 넘기는 예산은 ‘급증’

‘돈 없다’는 광주시, 못쓰고 넘기는 예산은 ‘급증’

입력 2015-12-02 10:15
수정 2015-12-02 1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명시이월 예산 1천540억로 작년대비 40% 이상 증가 “정작 예산 필요한 다른 사업 추진 발목 잡는다”

광주시가 편성해 놓고도 집행하지 못한 채 해를 넘긴 예산이 매년 급증하고 있다.

효율적인 재정 운용을 저해하는 방만하고 비계획적인 예산 편성과 집행이라는 지적이 나올 수 밖에 없는 대목이다.

2일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예산안 검토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명시이월(明示移越) 예산은 120건에 1천540억8천여만원에 달했다.

명시이월은 부득이한 사유로 해당 연도에 지출할 수 없는 사업을 의회 승인 뒤 다음 연도로 넘겨 집행하는 것으로 ‘회계연도 독립의 원칙’에는 반(反)하지만 예산집행의 신축성 유지를 위해 인정되고 있다.

지난해 70건에 904억원과 비교해 건수와 액수 기준으로 40% 이상 급증했다.

2013년에는 49건에 501억9천여만원이었다.

올해 추경 전 의회에서 확정한 2천132억원 중 555억7천만원만 집행하는데 그쳐 1천500억원 이상이 고스란히 남은 셈이다.

옛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을 리모델링하는 청소년복합문화센터 조성사업비는 87억4천여만원을 세웠으나 한푼도 사용하지 못했다.

시정 주요시책 용역비 3억원도 1천만원만 집행한 채 나머지는 감액과 이월됐다.

특히 사업취소 등으로 전액 감액된 사업이 56건에 40억원에 달했다.

참여혁신단은 공유단체 기업공유촉진사업비 5천만원 등 무려 20건(2억7천만원)을 한푼도 집행하지 못하고 내년도로 넘기게 됐다.

관광진흥과도 광주전남공동 무안공항 정기노선·KTX연계상품운영 사업비, 중국문화원 광주분원유치활동비 등 9건(2억4천여만원)이 이월됐다.

보고서는 충분한 사전 검토없이 주먹구구식 예산편성의 사례로 어렵게 확보한 예산이 적재적소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광주시의회 조오섭(북구2) 의원은 “명시이월이 많다는 것은 정작 필요한 다른 사업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일단 세워놓고 보자’식의 예산 편성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 위해 간담회 개최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7일 동대문구청 간부들과 동대문문화재단 대표이사, 본부장 등이 함께한 문화예술 사업 예산 간담회에서 동대문구 주민들을 위한 안정적이고 접근성 높은 공공 공연장 확보에 서울시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제기동 선농단 역사문화관 리모델링 ▲세종대왕기념관 아트홀 건립 계획 ▲서울시립대학교 공연장 활용 가능성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이 의원은 “선농단 역사문화관은 제기역과 안암오거리 사이에 위치해 접근성이 뛰어난 만큼, 리모델링을 통해 공공 공연장으로 재탄생시키면 주민 만족도가 매우 높을 것”이라고 밝혔다. 구 관계자들도 “공공 공연장이 전무한 동대문구에서 선농단 공연장화는 지역 문화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핵심 사업”이라며 지역 공연장 조성 필요성에 공감했다. 동대문구청은 문화체육관광부 소유 세종대왕기념관 부지를 활용해 대형 아트홀 건립 계획을 추진 중이며, 이 의원은 해당 계획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시 차원의 예산·행정 지원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 의원은 “동대문구에는 2000석 이상 대형 공연장이 없는 상황”이라며 “세종대왕기념관 부지에 아트홀이 조성될 경우 동북권 주민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 위해 간담회 개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