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판교점 성업에 ‘롯데’ 본점 디저트 매장 추진
백화점들이 지하 식품관 꾸미기에 힘쓰고 있다. 맨 아래층에 사람이 몰리는 푸드코트와 식품매장을 두고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게 하면서 더 많은 구매를 유인하는 ‘분수효과’를 기대하기 때문이다.롯데백화점은 18일부터 내년 1월까지 서울 중구 을지로 본점 식품관에 17개 디저트 매장을 새로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프랑스 고급 디저트 브랜드인 위고에빅토르, 일본의 치즈타르트 베이크 등을 국내 최초로 들여왔다. 부산 지역 명물 빵집인 옵스도 서울에 처음 입성한다. 모든 단장이 끝나면 본점 디저트 매장은 2350㎡(약 700평)로 기존보다 20% 커진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8월 판교점을 개점하면서 식품관으로 재미를 봤다. 지하 1층에 축구장 2배 크기의 국내 최대 규모 식품관을 조성했다. 미국의 컵케이크 브랜드 매그놀리아, 덴마크의 조앤더주스, 삼송빵집 등 델리 브랜드 78개를 선보였다. 매그놀리아는 애초 하루 700개의 컵케이크를 만들어 팔 계획이었지만 손님이 몰리면서 하루 5000개를 판매 중이다. 월평균 매출액이 6억원에 이른다.
일각에서는 분수효과가 뚜렷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지하 식품관만 장사가 잘되는 ‘쏠림효과’일 뿐이라는 주장이다. 롯데백화점의 디저트 상품군의 매출 증가율은 2013년 23%, 지난해 29%, 올해 1~11월 22%로 성장하고 있다. 현대백화점 델리 매출 증가율 역시 2013년 21.3%, 지난해 22.7%, 올해 1~11월 23.2%으로 식품류가 백화점 매출 일등공신 역할을 한다. 반면 같은 기간 의류와 잡화 상품 매출 증가율은 10%를 밑돌았다.
장기 불황과 치열해진 유통채널 간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집객력이 입증된 식품매장을 키울 수밖에 없다고 백화점들은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인터넷 쇼핑, 해외직구, 아웃렛이 등장하면서 의류나 잡화로는 손님을 끌기 힘들다”면서 “20~30대가 열광하는 유명 맛집과 특정 백화점에서만 맛볼 수 있는 디저트로 차별화해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5-12-1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