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3 ~ 7층 3만여㎡… 쾌적한 쇼핑 공간

국내 최대 3 ~ 7층 3만여㎡… 쾌적한 쇼핑 공간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5-12-24 23:02
수정 2015-12-25 01: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용산 신라아이파크면세점 가 보니

24일 문을 연 신라아이파크면세점의 가장 큰 특징은 ‘규모’였다. 매장과 매장 사이 간격은 3명이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넓었다. 뿐만 아니라 매장 자체도 다른 면세점에 있던 것보다 좀 더 공간을 넓게 활용해 쾌적함을 줬다. 한 번쯤 서울 시내 면세점을 이용해 본 사람이라면 수많은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는 경험을 해 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곳에서만큼은 그런 부딪침은 없을 듯하다. 신라아이파크면세점의 3~7층 면적은 3만 400㎡로 국내 면세점 가운데 가장 넓다.

이미지 확대
24일 신라아이파크면세점 개장식 직후 정몽규(앞줄 오른쪽 두 번째) 현대산업개발 회장이 임직원들과 함께 매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24일 신라아이파크면세점 개장식 직후 정몽규(앞줄 오른쪽 두 번째) 현대산업개발 회장이 임직원들과 함께 매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과 현대가(家)의 의기투합으로 화제를 모았던 HDC신라면세점이 서울 용산구 아이파크몰에 신라아이파크면세점을 열고 이날부터 정식 영업(전체 면적의 60%, 401개 브랜드)을 시작했다.

신라아이파크면세점은 우려했던 것과 달리 일부 명품 브랜드도 문을 열었다. 4층에는 페라가모와 발렉스트라, 비비안웨스트우드, 발리 등의 명품 브랜드가 입점했다. 하지만 또 다른 해외 명품 브랜드가 들어설 5층은 전부 비어 있는 상태다. HDC신라면세점은 해외 명품 브랜드를 입점시켜 내년 3월 전체 면적을 개장할 계획이다.

3층에는 수입 화장품과 고급 시계 매장으로 채워졌다. 면세점 입구에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디올을 비롯해 에스티로더, 랑콤 등의 수입 화장품과 설화수, 후 등 중국인 관광객이 선호하는 한국 화장품이 입점했다.

HDC신라면세점은 6층의 대부분을 ‘케이 디스커버리 존’으로 꾸며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한류 상품을 선보이는 전진 기지로 만들었다. 6300㎡ 공간에 270여개에 이르는 국내 화장품과 잡화, 의류 브랜드가 들어섰다.

신라아이파크면세점의 위치도 강점이었다. KTX, 지하철 1호선 용산역과 면세점이 연결돼 있다. HDC신라면세점 관계자는 “전 매장을 모두 열게 되는 내년 연매출 1조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면세점 개장식은 앞서 7월 면세점 특허권 입찰 경쟁 때 오너들이 직접 나섰던 것과 달리 조촐하게 치러졌다. 정부의 요구에 맞춰 예정보다 일찍 문을 여느라 완전히 매장 문을 연 게 아니었기 때문이다. 양창훈·이길한 HDC신라면세점 공동대표와 관계자들이 기념사진 촬영만 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은 참석하지 않았고, 정몽규 현대산업개발 회장은 6층 매장만 잠시 둘러봤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12-2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