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급호텔 ‘한식 홀대’여전…서울에 3곳뿐

특급호텔 ‘한식 홀대’여전…서울에 3곳뿐

입력 2016-01-07 09:27
수정 2016-01-07 09: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국인 관광객 2천만명 시대를 바라보고 있지만 국내 특급호텔의 한식 홀대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 영업 중인 특급호텔 20여 곳 중 별도의 한식당을 운영하는 곳은 SK의 쉐라톤 그랜드 워커힐, 롯데호텔, 신라호텔 세 곳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쉐라톤 그랜드 워커힐은 갈비 전문점인 명월관과 한식당 온달 2곳을 운영하고 있고, 신라는 라연을, 롯데호텔은 무궁화를 운영하고 있다.

신세계가 운영하는 웨스틴조선호텔 서울은 과거 셔블이라는 한식당을 열었다가 2005년께 철수했다.

외국계인 밀레니엄힐튼 서울과 인터콘티넨탈도 과거 한식당을 운영하다가 각각 1999년과 2010년께 접었다.

최고급인 ‘6성급’을 표방하며 지난해 10월 서울 광화문에 처음 개점한 포시즌스 호텔은 아예 개점당시부터 한식당을 열지 않았다.

이 밖에 메리어트, 앰배서더 등을 포함해 서울시내 대부분 특급호텔은 한식을 뷔페나 결혼·돌잔치 등 연회용 음식으로만 취급할 뿐 별도의 한식당을 운영하지는 않고 있다.

이에 대해 호텔은 대부분 ‘수익성’을 이유로 들었다.

힐튼호텔 관계자는 “한식당의 수익이 좋지 않아서 없앤 것으로 안다”면서 “외국인 관광객은 호텔안에 있는 식당보다 밖에 있는 식당을 더 선호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메리어트 관계자는 “한식은 반찬 가짓수가 많아 양식보다 음식 준비와 상 차림에 대한 투자가 더 많이 필요하다”면서 “호텔 한식이 비싸다는 점도 내국인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들 호텔은 대부분 이탈리아, 프랑스 등의 요리를 주재료로 하는 서양식이나 회, 초밥 등을 내세운 일식당 등 외국음식점을 대표로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한식당을 운영하는 호텔들에 따르면 비용대비 수익성에서도 한식당의 성적은 나쁘지 않다.

신라호텔 라연은 평일에도 평균 70%가 넘는 예약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아시아판 미슐랭’이라 불리는 ‘아시아 최고식당 50곳’에 이름을 올렸다.

쉐라톤 워커힐도 한식당의 예약률이 평균 80%에 이른다고 전했다.

특급호텔들이 제대로 검증해보지 않은 수익성을 이유로 한식당을 무조건 외면하는 현상에 대해 관광업계에서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광공사에 따르면 2019년 방한 외국인 관광객이 2천만명에 육박하고, 정부도 최근 프랑스의 세계적인 식당 평가서인 미슐랭 가이드의 한국판 발행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한식을 알릴 기회를 스스로 없애고 있다는 지적이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한식당의 수익성을 문제삼고 있지만 영업을 하지 않은지 10년이 넘은 상황에서 타당한 근거가 있는 것인지는 의문”이라면서 “자칫 외국인에게 한국은 대표 음식이 없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도 있다”고 꼬집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