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급호텔 ‘한식 홀대’여전…서울에 3곳뿐

특급호텔 ‘한식 홀대’여전…서울에 3곳뿐

입력 2016-01-07 09:27
수정 2016-01-07 09: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국인 관광객 2천만명 시대를 바라보고 있지만 국내 특급호텔의 한식 홀대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 영업 중인 특급호텔 20여 곳 중 별도의 한식당을 운영하는 곳은 SK의 쉐라톤 그랜드 워커힐, 롯데호텔, 신라호텔 세 곳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쉐라톤 그랜드 워커힐은 갈비 전문점인 명월관과 한식당 온달 2곳을 운영하고 있고, 신라는 라연을, 롯데호텔은 무궁화를 운영하고 있다.

신세계가 운영하는 웨스틴조선호텔 서울은 과거 셔블이라는 한식당을 열었다가 2005년께 철수했다.

외국계인 밀레니엄힐튼 서울과 인터콘티넨탈도 과거 한식당을 운영하다가 각각 1999년과 2010년께 접었다.

최고급인 ‘6성급’을 표방하며 지난해 10월 서울 광화문에 처음 개점한 포시즌스 호텔은 아예 개점당시부터 한식당을 열지 않았다.

이 밖에 메리어트, 앰배서더 등을 포함해 서울시내 대부분 특급호텔은 한식을 뷔페나 결혼·돌잔치 등 연회용 음식으로만 취급할 뿐 별도의 한식당을 운영하지는 않고 있다.

이에 대해 호텔은 대부분 ‘수익성’을 이유로 들었다.

힐튼호텔 관계자는 “한식당의 수익이 좋지 않아서 없앤 것으로 안다”면서 “외국인 관광객은 호텔안에 있는 식당보다 밖에 있는 식당을 더 선호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메리어트 관계자는 “한식은 반찬 가짓수가 많아 양식보다 음식 준비와 상 차림에 대한 투자가 더 많이 필요하다”면서 “호텔 한식이 비싸다는 점도 내국인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들 호텔은 대부분 이탈리아, 프랑스 등의 요리를 주재료로 하는 서양식이나 회, 초밥 등을 내세운 일식당 등 외국음식점을 대표로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한식당을 운영하는 호텔들에 따르면 비용대비 수익성에서도 한식당의 성적은 나쁘지 않다.

신라호텔 라연은 평일에도 평균 70%가 넘는 예약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아시아판 미슐랭’이라 불리는 ‘아시아 최고식당 50곳’에 이름을 올렸다.

쉐라톤 워커힐도 한식당의 예약률이 평균 80%에 이른다고 전했다.

특급호텔들이 제대로 검증해보지 않은 수익성을 이유로 한식당을 무조건 외면하는 현상에 대해 관광업계에서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광공사에 따르면 2019년 방한 외국인 관광객이 2천만명에 육박하고, 정부도 최근 프랑스의 세계적인 식당 평가서인 미슐랭 가이드의 한국판 발행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한식을 알릴 기회를 스스로 없애고 있다는 지적이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한식당의 수익성을 문제삼고 있지만 영업을 하지 않은지 10년이 넘은 상황에서 타당한 근거가 있는 것인지는 의문”이라면서 “자칫 외국인에게 한국은 대표 음식이 없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도 있다”고 꼬집었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서울역쪽방상담소 ‘우리동네 구강관리플러스센터 개소 1주년 성과공유회’ 참석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24일 서울역쪽방상담소 ‘우리동네 구강관리플러스센터’에서 열린 ‘개소 1주년 성과공유회’에 참석해 “이 사업은 단순한 치과 진료를 넘어, 시민의 존엄과 자립을 회복시키는 따뜻한 복지 모델”이라고 평가하며, 민·관·학 협력의 모범 사례로서의 지속적 운영과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특별시 오세훈 시장, 서울시 윤종장 복지실장, 우리금융미래재단 장광익 사무국장,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박영석 대학원장과 권호범 교수, 우리동네 구강관리플러스센터 한동헌 센터장, 온누리복지재단 송영범 대표, 서울역쪽방상담소 유호연 소장, 센터 이용 주민 등 60여명이 참석했으며, 사회는 서울시 자활지원과 김미경 과장이 맡아 행사를 진행했다. ‘우리동네 구강관리플러스센터’는 서울시와 우리금융미래재단,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이 협력해 운영하는 무료 치과진료소로, 현재 돈의동과 서울역쪽방촌 두 곳이 설치되어 있고 주로 쪽방촌과 주거취약지역 주민 등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시민들을 대상으로 진료를 제공하고 있다. 김 의원은 지난해 7월 1일 열린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서울역쪽방상담소 ‘우리동네 구강관리플러스센터 개소 1주년 성과공유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