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물없는 라면’ 시장 커졌다…매출 3년만에 60%↑

‘국물없는 라면’ 시장 커졌다…매출 3년만에 60%↑

입력 2016-02-10 09:37
수정 2016-02-10 14: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용기면은 대용량 제품 상승세 지속

‘국물 없는 라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 만에 매출이 60% 급증, 라면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대로 뛰었다.

10일 시장조사기관 AC닐슨에 따르면 지난 3년간 국물라면 매출은 매년 감소했지만, 비(非)국물라면은 가파르게 증가했다.

농심 짜왕 농심 블로그
농심 짜왕
농심 블로그
지난해 국물라면 매출은 1조4천522억원으로 전년 대비 2.3% 줄었다. 2012년(1조6천723억원)과 비교하면 3년 만에 매출이 12.4% 감소했다.

반면에 비국물라면의 지난해 매출은 5천6억원 규모로 전년보다 16.0% 늘었다. 2012년 매출 3천139억원과 비교하면 59.5% 급증했다.

3년 만에 시장 규모가 2천억원 가까이 확대되면서 전체 시장에서 비국물라면이 차지하는 비중도 15.9%에서 25.6%로 급격히 확대됐다.

국물라면 점유율은 같은 기간 84.1%에서 74.4%로 축소됐다.

작년 하반기 대거 출시된 프리미엄 짬뽕라면이 최근 인기를 끌고 있지만 추세적으로는 짜장라면, 비빔면, 볶음면 등 비국물라면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국물 없는 라면 시장은 신제품의 지속적인 출시와 짜장라면, 비빔면의 인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농심 ‘짜왕’을 비롯해 오뚜기 ‘진짜장’, 팔도 ‘팔도짜장면’, 삼양식품 ‘갓짜장’ 등 프리미엄 짜장라면이 줄줄이 선보였다.

작년 짜장라면 전체 매출은 2천810억원으로 전년보다 46.69% 성장했다.

팔도 ‘비빔면’이 이끄는 비빔면 전체 매출은 861억원으로 전년보다 7.41% 증가했다.

팔도비빔면 팔도 블로그
팔도비빔면
팔도 블로그
최근 꾸준히 증가하던 용기면 비중은 지난해 주춤했다.

용기면 비중은 2012년 30.7%에서 2013년 31.4%, 2014년 33.2%로 꾸준히 증가했으나 지난해 32.6%로 소폭 감소했다.

매출 기준으로는 지난해 용기면 시장은 0.22% 신장했다. 용기면 가운데 팔도 ‘왕뚜껑’, 농심 ‘신라면 큰사발’과 같은 대용량 제품은 1.9% 성장했으나, 작은 크기 용기면은 2.2% 감소했다.

최근 1인 가구의 증가로 ‘혼밥족’(혼자 밥 먹는 사람)과 ‘편도족’(편의점에서 도시락으로 끼니를 해결하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라면도 식사 한 끼를 든든히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팔도 관계자는 “먹방, 쿡방 등의 영향으로 라면도 한 끼를 대체할 수 있는 식사로 자리 잡고 있다”며 “용기면 비중은 편의점 채널의 증가와 캠핑 등 야외활동의 증가로 지속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