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구조개혁 없이 지속적인 성장 어려워”

이주열 “구조개혁 없이 지속적인 성장 어려워”

입력 2016-02-24 09:18
수정 2016-02-24 13: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제동향간담회 주재…“구조개혁 제대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경제 성장을 위한 구조개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시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경제동향간담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제 우리나라가 구조개혁 방안을 제대로 추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또 오는 26일부터 중국 상하이에서 열릴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서 구조개혁이 의제로 다뤄질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지금 우리 경제가 구조개혁을 통한 생산성 향상 없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은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2001∼2005년 5.2%에서 2011∼2015년 3.0∼3.2%로 하락했는데 생산성 기여도가 2.2% 포인트에서 0.8% 포인트로 낮아진 것이 주된 요인이라는 것이다.

이 총재는 “잠재성장률 결정요소는 자본, 노동, 생산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생산성이 4분의 1에 불과하다”며 “미국은 생산성 향상의 기여도가 절반 정도”라고 말했다.

또 “일본은 고령화 등으로 노동기여도가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어 생산성 향상이 거의 유일한 성장동력일 수밖에 없다”며 “지금 일본이 어려움을 겪는 것은 구조개혁이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우리나라가 제시한 공공, 노동, 금융, 교육 등 4대 부문의 구조개혁 방안이 국제사회에서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극수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장, 송기석 BoA메릴린치 서울지점 전무, 신관호 고려대 교수, 장재철 씨티그룹 상무, 정성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거시금융본부장, 홍기석 이화여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우리나라의 수출 부진에는 경기적 요인 외에도 세계 교역에서 공급 사슬의 변화, 중국 경제의 둔화 등 구조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또 간담회에서 우리나라의 산업구조가 세계 수요의 변화에 맞게 유연하게 바뀔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한은이 전했다.

참석자들은 최근 국제금융시장의 높은 변동성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에 공감했으며 일부 참가자들은 자본 유출, 가계 부채 등 금융안정성 유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지난 1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서울시 폭염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냉방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쿨루프와 옥상녹화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폭염을 단순한 불편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폭염 대응은 냉방 지원과 그늘막 조성 수준을 넘어 기후 적응형 도시정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들이 서울시 폭염 대응 및 기후 적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의원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발제에서는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가 복사냉각 기술을 활용한 열섬 완화 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도심의 에너지 효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김진수 부회장은 인공지반 녹화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울의 인공지반 녹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폭염 대응이 단기 대책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복사냉각 쿨루프·인공지반 녹화·태양광 패널 설치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