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갚기 턱없이 부족한 소득…가계부채가 소득의 1.5배

빚갚기 턱없이 부족한 소득…가계부채가 소득의 1.5배

입력 2016-03-26 10:40
수정 2016-03-26 1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144%1년새 7.8%p 급등…작년 가계부채 증가율, 가처분소득의 2배

우리나라 가계가 버는 소득으로 부채를 감당하기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

26일 한국은행 통계를 보면 지난해 가계의 순처분가능소득(837조1천767억원) 대비 가계신용 연말 잔액(1천206조9천798억원)은 144.2%로 집계됐다.

순처분가능소득은 가계가 임금이나 예금 이자 등으로 마련한 소득 가운데 세금 등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을 말한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이나 보험, 대부업체 등에서 받은 대출뿐 아니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합친 대표적인 가계부채 통계다.

우리나라 가계가 1년 동안 처분가능소득을 모두 모아도 가계부채를 전부 갚기 어렵고 가계 빚의 44%가 남는다는 얘기다.

이 비율은 2004년 100.8%에서 꾸준히 상승해 2011년 131.3%로 130%대에 올라섰고 2012년 133.1%, 2013년 133.9%, 2014년 136.4%를 기록했다.

특히 최근 상승곡선이 가파르다는 점이 우려되고 있다.

작년 말 수치를 1년 전과 비교하면 7.8% 포인트나 뛰었다.

이 비율의 전년 대비 상승폭은 한국은행이 가계부채 통계를 편제한 2002년 이후 최대였던 2006년(7.2%)을 뛰어넘는 역대 최대 수준이다.

소득과 대비한 부채의 비율이 높아진 것은 지난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이 2014년보다 5.2%(41조4천478억원) 늘어나는 동안 가계부채 잔액은 11.2%(121조7천206억원) 급증했다.

가계 부채의 증가 속도가 처분가능소득의 2배를 넘었던 것이다.

가계 부채 급증은 작년 6월 기준금리가 연 1.50%까지 떨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대출이 급증한 영향이 컸다.

이에 따라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작년 말 77.4%로 1년 전(73.0%)보다 4.4% 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한은이 관련 통계를 편제한 2002년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부채를 늘린 가구 중에는 주택 등 다른 자산을 늘릴 경우가 많지만 가계 부채 총량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많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최근 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보다 높아져 가계의 부채상환 능력이나 재무건전성이 나빠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가계가 부채 상환에 허덕이는 현실은 다른 통계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의 ‘2015년 가계금융 복지조사’에 따르면 가계는 가처분소득의 25%를 대출 원리금(원금과 이자)을 갚는 데 쓰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대출을 받은 가구 중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가 70%에 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