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T 성장의 힘… 자수성가 부자 증가

한국 IT 성장의 힘… 자수성가 부자 증가

입력 2016-04-29 23:10
수정 2016-04-29 23: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옐로모바일 이상혁·쿠팡 김범석 등 50대 부자 중 19명… 1년 새 10%P↑

이미지 확대
김범석 쿠팡 대표
김범석 쿠팡 대표  
정보기술(IT) 분야에서 새로운 아이템이 성공하면서 한국에서도 자수성가형 부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브스는 28일(현지시간) ‘2016년 한국의 50대 부자’를 발표하면서 스스로 기업을 일궈 성공한 경영자들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50명의 부자 중 자수성가형은 19명으로 38%에 이르렀다. 10년 전 포브스의 발표 때 18%, 지난해 28%였던 것을 감안하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새로 진입한 7명 가운데 6명이 자수성가형이다. 포브스는 대표적인 자수성가형 경영자로 이상혁 옐로모바일 대표와 김범석 쿠팡 대표를 들었다. 이 대표의 재산은 10억 5000만 달러(약 1조 1954억원)로 34위로 기록됐다. 옐로모바일은 지난해 4700만 달러의 자금을 모집했고, 이에 따라 회사 가치가 40억 달러로 늘어나면서 지분 26%를 가진 이 대표의 자산 가치가 올랐다. 전자상거래 업체 쿠팡 창업자인 김 대표는 9억 5000만 달러로 36위에 올랐다. 올해 새로 이름을 올린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7위)과 김재철 동원그룹 회장(10위),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31위),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47위) 등도 자수성가형 기업인이다.

우리나라의 최고 부자는 올해에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차지했다. 이 회장의 재산은 전년보다 7억 달러 줄어든 126억 달러로 평가됐다. 이어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84억 달러)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62억 달러), 권혁빈 스마일게이트홀딩스 대표(49억 달러),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48억 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6-04-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