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 수산시장, 새 건물 입주율 절반 넘어

노량진 수산시장, 새 건물 입주율 절반 넘어

입력 2016-05-04 14:49
수정 2016-05-04 14: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협, 연휴기간 활어회 할인 등 수산물대축제

상인들의 입주 거부로 갈등을 빚어온 노량진 수산시장 현대화 시장 입주율이 절반을 넘겼다.

그러나 이전을 반대하는 상인들은 새 건물로 옮긴 상인들이 수협의 압박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했다며 구 시장 영업을 고수하고 있다.

4일 수협에 따르면 지난 3일까지 노량진 수산시장 판매상인 654명 중 절반이 넘는 358명(54.7%)이 지난 3월 16일 공식 개장한 현대화 건물로 이전했다.

판매공간이 좁아지고 시장 기능을 갖추지 못했다는 등의 이유로 많은 상인이 새 건물 이전을 거부해 노량진 수산시장은 ‘두집살림’을 이어가고 있다.

이전을 거부했던 상인 중 127명이 최근 현대화 시장에 대거 입주했으며, 중도매인 사무실과 회식당 등은 이사를 마치고 정상 영업 중이라고 수협은 전했다.

지난달 현대화 시장에서 거래한 수산물 경매물량은 전년(6천712t)과 비교해 80% 수준인 5천330t으로 집계됐다.

새 시장에서 첫 경매가 열린 지난 3월 16일 경매물량은 80t에 그쳤지만, 지난 3일 272t으로 3배 넘게 증가하는 등 도매 기능을 회복하고 있다고 수협은 설명했다.

수협은 이날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시장 현대화를 놓고 갈등이 끊이지 않았던 노량진 수산시장에 화합의 싹이 트고 있다”며 “입주를 거부했던 상인들이 새 시장으로 들어와 영업을 재개하면서 시장 활성화에 발 벗고 나섰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전을 거부하는 상인들이 참여하는 노량진 수산시장 현대화 비상대책총연합회 측은 새 건물로 옮긴 상인 상당수가 시장 시설 제한 등을 동원한 수협의 압박에 못 이겨 이사했다고 주장했다.

이채호 연합회 사무국장은 “전기 공급이 끊기는 등 수협의 압박이 심해지다 보니 당장 먹고 사는 문제가 닥쳐 어쩔 수 없이 이전하신 분들이 있다”며 “실제로 새 건물이 좋아서 가는 인원은 전체의 5%도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머지 분들은 동요 없이 꿋꿋이 기존 시장을 지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수협은 황금연휴인 오는 5일부터 4일간 현대화 시장에서 활어회를 최대 20% 할인하고 활어 맨손잡기 등 다양한 체험 행사를 마련하는 ‘수산물 대축제’를 연다.

현대화 건물로 이전하지 않은 구 시장 상인들은 이 행사에 참여하지 않고 연휴에 자체적으로 풍물 행사 등을 열 계획이다.

수협은 새 건물로 옮기지 않고 구 시장에서 계속 영업하는 상인을 무단 점유자로 간주해 명도소송을 준비 중이다.

이에 대해 수협은 “명도소송 절차를 밟고 있지만 모든 상인이 현대화 시장으로 이전하면 임대료와 공간배치를 다시 협상할 수 있다는 방침을 세워 상인이 추가로 입주할 길을 열어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