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경주시에 있는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한수원은 지난해 12월 경주 본사에 2㎿h급 ESS를 도입한 데 이어 2018년 준공 예정인 중앙연구원 별관에도 ESS를 구축하기로 했다. 또 올해 준공을 목표로 하는 4개 원전본부에 비상 전원용 5기와 전력 피크 절감용 4기 등 모두 ESS 9기(용량 6㎿h)를 추가 발주한다. ESS는 평소에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쓸 수 있는 장치다. 신재생 에너지와 연계해 전력 피크 사용을 억제하고 전력 수급 위기에 대응할 수 있어 에너지 신산업의 주요 기반 시설로 불린다.
한수원은 6㎿h급 ESS가 추가로 도입되면 전력 피크 때 저장된 전기를 꺼내 쓸 수 있어 연평균 5억원의 전기요금을 아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비상 상황 때 대응 능력을 높이고, 탄소배출량과 환경 오염, 소음 문제 등을 동시에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한수원은 태양광, 풍력 등 에너지 신산업의 해외 진출도 검토하고 있다. 한수원은 “파리협약에 따른 신기후체제 출범에 대비해 점진적 성장이 예상되는 수력과 신재생 사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6-06-2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