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in 비즈] LG전자 과거 벗어나야 미래 보인다

[비즈 in 비즈] LG전자 과거 벗어나야 미래 보인다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7-10 22:20
수정 2016-07-10 23: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반도체 매각 미련·제2 초콜릿폰 기대도…자동차 전장 사업 등 선택과 집중할 때

“LG반도체를 팔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요.”

이미지 확대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LG전자 내부에서는 아직도 LG반도체에 대한 미련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LG반도체만 있었어도 삼성전자처럼 부품과 세트(완성품)의 시너지를 낼 수 있었을 텐데 반도체가 없다 보니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보는 것입니다. LG반도체는 1999년 LG그룹이 정부 주도로 진행된 구조조정으로 눈물을 머금고 현대전자산업(현 SK하이닉스)에 매각한 회사입니다. 당시 이 회사는 시스템(비메모리) 반도체 역량이 뛰어났다고 합니다. D램 등이 메모리 반도체의 일종이라면 스마트폰의 ‘뇌’로 불리는 모바일 AP는 시스템 반도체에 해당됩니다.

현재 LG전자는 퀄컴에 100% 의존하는 형국입니다. 퀄컴 부품에 문제가 발생하면 LG전자 제품에도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 LG전자의 G플렉스2는 발열 논란에 빠진 퀄컴의 스냅드래곤 810을 탑재하면서 홍역을 치러야 했습니다. 이후 G4는 G플렉스2보다 후속작임에도 불구하고 하위 버전인 스냅드래곤 808을 장착했습니다. G4 판매가 부진했던 것도 이런 이유일 겁니다.

이번 G5는 퀄컴의 신형 AP를 탑재했지만 소비자들은 외면했습니다. LG전자 제품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줄어든 탓입니다. 이 때문에 LG전자 2분기 영업이익률은 4.18%로 삼성전자(16.2%)의 4분의1 수준에 그쳤습니다. 3분기부터 휴대폰(MC) 사업본부의 조직 개편, 마케팅 비용 축소 등으로 영업적자 폭은 크게 줄어들겠지만 회사의 근본적인 수익성 제고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스마트폰 시장 자체가 전망이 밝지 않기 때문입니다. LG전자가 반도체 사업에 다시 뛰어든다고 해서 달라질 게 없습니다.

LG전자는 2005년 이후 천만대 넘게 판 ‘초콜릿폰’의 향수에 빠져 있는 듯합니다. G5에서 ‘제2의 초콜릿폰’ 신화를 기대하기도 했죠. 그러나 이제는 냉철하게 과거에 머물지 말고 미래를 바라봤으면 좋겠습니다. LG전자는 정확히 3년 전 신사업 부문인 자동차부품(VC) 사업본부를 세웠습니다. 자동차 전장(電裝·전자장비) 사업에서 기회를 찾은 것이죠. 지난해 4분기 소폭의 영업 흑자(97억원)도 냈습니다. 선택과 집중을 한다면 자율주행차 등 새롭게 떠오른 미래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도 있을 겁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7-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