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우려속 저비용항공사 에어서울 취항

기대·우려속 저비용항공사 에어서울 취항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7-10 22:20
수정 2016-07-10 23: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시아나 두 번째 LCC 오늘 출범…선택폭 커졌지만 안전 시스템 과제

아시아나항공이 세운 두 번째 저비용항공사(LCC)인 에어서울이 11일 출범한다. 2005년 8월 한성항공(현 티웨이항공)이 청주~제주 노선에 취항하면서 LCC 시대를 연 뒤로 11년 만에 여섯 번째 저비용항공사의 등장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양대 대형 항공사 시절보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항공 운임이 싸지고 선택의 폭은 넓어졌지만 잊을 만하면 발생하는 안전 문제가 LCC 업계의 발목을 잡고 있다. 비상 사태 때 확연히 드러난 주먹구구식 운영도 해결 과제로 남아 있다.

10일 항공 업계에 따르면 에어서울은 김포~제주 노선에 첫 취항을 한다. 에어서울의 자본금은 150억원이다. 국제운송사업 면허 기준인 항공기 3대, 자본금 150억원 규정 중 자본금 요건은 충족했다. 항공기 3대 요건을 갖추면 국제선 운항도 할 계획이다. 에어서울은 오는 10월부터는 중국, 일본, 동남아 노선에도 비행기를 띄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국내선 운항은 항공기 1대만 있어도 가능하다.

한국공항공사와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 11년 동안 LCC를 이용한 승객수는 1억 1479만명(누적 기준)이다. 특히 국내선 점유율은 56.1%(5월 기준)로 대형 항공사를 앞질렀다. 국제선 점유율도 17.5%로 지난해보다 40.4% 증가했다. LCC 중에서는 애경그룹의 제주항공이 3431만명의 누적 승객을 태워 1위를 달리고 있다. 이어 아시아나항공 자회사인 에어부산과 대한항공 계열의 진에어가 각각 2425만명, 2250만명으로 2~3위를 다툰다. 에어서울이 합류하면서 LCC 업계에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안전 확보와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은 LCC 업계가 풀어야 할 숙제다. 올 초 잇따른 안전 사고로 LCC에 대한 시선은 싸늘하기만 하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LCC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정비 역량을 늘리고 체계적인 시스템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7-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