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가 내렸는데 우유 소비자가는 그대로”

“원유가 내렸는데 우유 소비자가는 그대로”

입력 2016-07-27 13:51
수정 2016-07-27 1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원유 가격 인하에 따라 우유 소비자가격도 내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27일 “과거 원유 가격이 올랐을 때는 업계가 발 빠르게 우유 가격을 인상했는데 원유 가격 인하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낙농진흥회는 올해 원유기본가격을 전년보다 18원 내린 ℓ당 922원으로 결정한바 있다.

소비자단체협의회에 따르면 우유 소비자가격은 2013년 8월까지 2천360원을 넘지 않았지만 원유가격연동제 시행으로 원유값이 106원 인상된 이후 출고가가 인상됐다.

같은해 9월 우유 소비자가격은 2천425원, 10월 2천572원으로 2개월 만에 214원 오르며 2천500원대를 돌파했으며 지난달 평균 가격은 2천571원으로 거의 같게 유지되고 있다.

낙농진흥회 자료에 따르면 우유재고량은 2013년 평균 10만726t에서 지난 1월~5월 평균 23만6천212t으로 무려 134.5% 증가했으며 분유재고량은 8천34t에서 1만8천682t으로 132.5% 증가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우유와 분유재고가 계속 쌓여 왔으나 시장 상황이 반영되지 못하고 소비자들만 비싼 우유 가격을 지불하고 있다”며 “국내 우유소비를 확대하고 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유가격 인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구미경 시의원(국민의힘, 성동구 제2선거구)은 지난 17일 국내 최대 규모의 공영도매시장인 서울 가락시장에서 열린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가락김장축제)’에 참석해 김장 담그기 작업에 참여하며 나눔의 의미를 더했다. 가락김장축제는 2008년 시작해 올해로 18년째 이어지는 가락시장의 대표 나눔 행사이며, 시장을 구성하는 유통인과 공사가 예산을 마련하고 시민·봉사자들이 함께 김치를 담그며 겨울철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전통적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올해 행사에는 가락시장 유통인, 기업, 자원봉사자, 어린이, 외국인 등이 참여해 대규모 김장 작업이 진행됐으며, 현장에서 완성한 1만 상자(100t 규모)의 김치는 행사 종료 후 서울시 전역의 취약계층·복지시설 등에 기부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현장 제작 김치만 약 1500상자(전체 기부량의 15%)에 달해 공동체 참여의 의미가 더욱 확대됐다. 구 의원은 김치 명인과 함께 직접 김장을 담그며 일손을 보탰으며, 갑작스러운 기온 하락 속에서도 나눔에 함께한 시민들과 봉사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또한 구 의원은 “김장은 우리 이웃을 하나로 이어온 전통이자 따뜻한 나눔의 문화”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