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장 10명 중 2명, 항로 위험요소 숙지 않고 운항”

“여객선장 10명 중 2명, 항로 위험요소 숙지 않고 운항”

입력 2016-09-27 14:02
수정 2016-09-27 14: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태흠 “취항항로 조류·암초 숙지 확인 적성심사 합격률 83.5%에 불과”

여객선 선장 10명 중 2명은 항로의 암초나 조류 등 위험요소를 숙지하지 못한 채 운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태흠 의원이 27일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2년 이후 5년간 적성심사를 받은 여객선 선장 728명 중 120명이 불합격해 83.5%의 합격률을 기록했다.

연도별로 보면 2012년에는 71명이 심사를 받아 67명이 합격하는 등 합격률이 94%로 양호했지만 이후 2013년 87%, 2014년 74%로 급격히 나빠졌다.

세월호 사고 이후 관련법을 개정해 적성심사를 강화한 이후에는 올해까지 8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인천해양항만청 소관 해역을 운항하는 여객선장들이 가장 성적이 나빴다. 5년간 심사 대상 99명 중 58명이 통과해 합격률이 58%에 불과했다.

전국 평균 합격률인 83.5%보다 낮은 지역은 인천청을 비롯해 목포청, 동해청, 포항청 등 네 곳이었다.

여객선장에 대한 적성심사는 취항 항로의 항로표지와 조류·암초 등 특정 항로 특성에 대한 숙지 여부를 확인한다.

선원법에 따라 3년(65세 이상은 2년)에 한 번 심사하며 3회 이상 연속 불합격하면 자격을 박탈한다.

올해 목포청 소관 해역의 선장 한 명은 불합격 끝에 자격이 박탈됐다.

김태흠 의원은 “여객선 운항의 안전을 책임지는 선장이 항로표지나 위험요소도 모르고 키를 쥐는 것은 눈을 감고 바닷속에 뛰어드는 것과 같다”며 “해수부 등 감독관청은 적성심사를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