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직원 월급, 대기업의 60%…5년째 제자리”

“중소기업 직원 월급, 대기업의 60%…5년째 제자리”

입력 2016-09-29 07:52
수정 2016-09-29 07: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채익 의원 국감 자료…제조업·건설업 격차 심해

중소기업 직원의 월급이 같은 업종 대기업 직원의 6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직원이 월 300만원을 받는다면 비슷한 분야에서 일하는 중소기업 직원은 180만원을 받는 셈이다.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채익 의원이 중소기업청에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중소기업 월평균 임금 총액(월임금 총액)은 293만8천306원으로 대기업(484만9천460원)의 60.6% 수준이었다.

연도별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 비율은 2011년 60.5%, 2012년 62.1%, 2013년 62.2%, 2014년 60.6%, 2015년 60.6%로 5년째 60% 초반에서 제자리걸음을 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건설업, 보건업 분야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더욱 컸다.

건설업 분야 중소기업 월임금 총액은 236만2천304원으로 대기업 대비 44.9%에 그쳤다. 그나마 2011년 37.3%보다는 격차를 줄였지만, 여전히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협회·단체수리·기타개인서비스업(47.4%),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52.5%), 제조업(54.1%), 숙박 및 음식점업(56.6%)도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의 임금 처우가 많이 열악한 것으로 확인됐다.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은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 비율이 2011년 71.5%에서 2015년 69.6%로 떨어졌다.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도 같은 기간 86.5%에서 72.0%로 14.5%포인트 하락하며 대기업-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벌렸다.

임금 면에서 대기업 못지않은 대우를 받는 중소기업 업종으로는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94.9%), 교육서비스업(83.8%), 금융 및 보험업(82.2%)이 있었다.

특히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은 중소기업 월임금 총액이 211만9천248원으로 대기업(173만2천925원)보다 38만6천323원 많았다.

이 의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심한 임금 격차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근로 의욕을 떨어뜨리고 소득 양극화를 심화시켜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 된다”며 “정부는 중소기업의 애로를 듣고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표> 2011∼2015년 중소기업과 대기업 월임금 총액 및 격차

┌───────────────────┬───┬───┬───┬──┬──┐

│ 구분 │ 2011 │ 2012 │ 2013 │2014│2015│

├─────────┬─────────┼───┼───┼───┼──┼──┤

│ 전체 │ 중소기업 │2,511,│2,663,│2,764,│2,83│2,93│

│ │ 월임금총액(원) │ 717 │ 861 │ 054 │5,50│8,30│

│ │ │ │ │ │ 1 │ 6 │

│ ├─────────┼───┼───┼───┼──┼──┤

│ │ 대기업 │4,154,│4,289,│4,446,│4,67│4,84│

│ │ 월임금총액(원) │ 150 │ 856 │ 866 │8,40│9,46│

│ │ │ │ │ │ 8 │ 0 │

│ ├─────────┼───┼───┼───┼──┼──┤

│ │ 대·중소기업 │1,642,│1,625,│1,682,│1,84│1,91│

│ │ 임금 격차(원) │ 433 │ 995 │ 812 │2,90│1,15│

│ │ │ │ │ │ 7 │ 4 │

│ ├─────────┼───┼───┼───┼──┼──┤

│ │ 대기업 대비 중소│60.5 │62.1 │62.2 │60.6│60.6│

│ │기업 임금 비율(%) │ │ │ │ │ │

└─────────┴─────────┴───┴───┴───┴──┴──┘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