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미래의 이야기만 같던 자율주행차 시대가 성큼 다가오는 분위기다. 정부가 자율주행차 운행에 필요한 전용 주파수를 신규로 분배한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자동차가 도로의 기지국이나 다른 자동차와 통신으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스스로 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본격적인 자율주행차 보급에 앞선 준비 조치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립전파연구원은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무인기(드론) 등을 위한 주파수를 신규로 분배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는 5.855∼5.925 ㎓(기가헤르츠) 대역의 주파수 폭 70㎒(메가헤르츠)를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용으로 분배키로 하고 30일 주파수 공급과 기술기준 마련을 완료키로 했다고 밝혔다.
C-ITS는 자동차가 도로 인프라나 다른 자동차와 통신하면서 교통 상황에 관한 정보를 교환·공유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국토교통부는 2014년 7월부터 세종-대전간 도로에서 C-ITS 시스템의 시범사업을 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전국 고속도로에 구축할 계획이다.
C-ITS용 주파수를 이용하는 기지국은 최대 출력 2W로 무선국 허가를 받아야 하며, 단말기는 별도 허가 없이 자동차에 탑재해 이용할 수 있다. 다만 C-ITS가 직접 자율주행차 운행에 쓰이는 것은 아니다.
이번 주파수 공급과 기술기준 마련은 자율주행차의 본격적 보급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국무조정실 신산업투자위원회의 심의를 거쳤다고 미래부는 설명했다.
앞으로 자율주행차 통행체계가 갖춰지면 2012∼2014년 평균 314명이던 고속도로 사망자 수가 2025년에는 그 절반인 157명으로 줄고 교통사고에 따른 비용도 5천억원 감소할 것이라고 정부는 전망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또 IoT와 드론 등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신산업 육성을 위해 총 6천859㎒ 폭의 주파수를 신규로 분배키로 했다. 신산업에 필요한 주파수의 사용 목적이 매우 다양한만큼 여러 대역에서 주파수 공급이 이뤄진다.
IoT는 집안의 전등, 문단속 자물쇠, 기상 센서, 세탁기 등 일상 생활에 쓰이는 수많은 기기들이 사람의 직접 개입 없이 정보를 주고받아야 하기 때문에 통신을 위한 주파수가 많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등은 IoT용 주파수를 다른 나라에 앞서서 분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또 야외에서 쓰이는 레저용·택배용 드론이 크게 늘어날 경우에도 이런 기기들이 다른 전파의 간섭을 받지 않고 통신할 수 있는 주파수가 공급돼야 한다.
신산업 주파수 신규분배는 국무조정실 산하 주파수심의위원회의 규제심사를 통과했으며, 공포 절차를 거쳐 올 10월 초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