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기·이색경험…인사담당자가 꼽은 ‘불필요한 스펙’ 1위

극기·이색경험…인사담당자가 꼽은 ‘불필요한 스펙’ 1위

입력 2016-10-04 09:43
수정 2016-10-04 09: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극심한 취업난 속에 ‘스펙’ 쌓기에 여념 없는 구직자들이 많다. 스펙을 향한 구직자의 노력은 토익 고득점, 자격증 취득, 공모전 등 분야를 가리지 않지만 정작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은 불필요한 스펙도 많다고 지적한다.

이와 관련 취업포털 사람인은 기업 인사담당자 4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인사담당자에게 ‘신입 채용 시 불필요한 스펙을 갖춘 지원자가 있느냐’고 물었더니 68.7%가 ‘있다’고 답했다.

불필요한 스펙으로는 극기·이색 경험(47.7%·중복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한자·한국사 자격증(39.3%), 석·박사 학위(38.9%), 공인영어성적(32.6%), 해외 유학·연수 경험(31.6%), 동아리 활동 경험(26.3%), 회계사 등 고급자격증(26%), 봉사활동 경험(25.3%) 등이 있었다.

판단 기준은 단연 ‘직무와의 연관성 부족’(81.1%·복수응답)이었다.

변별력 없는 스펙(56.1%), 자격조건을 과하게 넘김(18.9%), 자격조건에 명시 안 된 스펙(14%), 취득 시기가 오래됨(6.3%) 등이 뒤를 이었다.

반대로 지원자들이 갖춰야 할 꼭 필요한 스펙으로는 인턴 경험(31.1%·복수응답), 관련 전공(28.7%), 아르바이트 경험(19%), 창업 등 사회활동(17.1%), OA 자격증(17.1%), 학점(16.1%), 제2외국어 능력(13.7%) 등이 꼽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