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생활물가지수 1% 올라 2년 3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김장 채소 값이 큰 폭으로 오르고 전기요금 인하 효과가 끝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개월 연속 1%대를 기록했다. 대표적인 체감지표인 생활물가지수는 2년 3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달 농축수산물 가격이 8.1% 상승해 전체 물가를 0.6% 포인트 끌어올렸다. 폭염 여파로 값이 크게 올랐던 배추와 무는 가을 출하량이 늘며 전달보다 상승세가 둔화되기는 했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각각 143.6%, 139.7% 올랐다. 이처럼 신선채소 가격이 42.0% 오른 탓에 소비자가 자주 사는 채소, 과일, 생선 등의 물가를 나타내는 신선식품지수는 15.4% 상승했다.
10월 전기·수도·가스 요금의 하락 폭은 전달(13.9%)보다 축소된 8.2%에 그쳤다. 한국전력의 전기요금 한시 인하 지침이 끝났기 때문이다. 석유류 가격도 국제유가 상승 효과가 반영되면서 전년 동월 대비 하락폭이 전달 7.0%에서 5.7%로 줄었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2개 품목 가격을 반영한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0% 올랐다. 2014년 7월(1.4%) 이후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전·월세를 포함한 생활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상승했다. 전세 가격이 3.4% 뛴 영향이 반영됐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출하량이 늘면서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 폭이 9월보다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면서 “다음달 도시가스 가격이 인상될 예정이고, 국제유가 회복으로 석유류 가격도 오를 것으로 보여 전반적으로 물가 하방(하락) 압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유가 등 물가 변동 요인을 모니터링하고, 서민생활에 밀접한 품목의 물가를 철저히 관리하겠다”면서 “특히 채소류 수요가 증가하는 김장철(11~12월)에 대비해 오는 4일 김장 채소 수급안정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11-0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