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만에 사라진 ‘트럼패닉’…한국 금융시장 빠르게 안정

하루 만에 사라진 ‘트럼패닉’…한국 금융시장 빠르게 안정

입력 2016-11-10 17:30
수정 2016-11-10 17: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스피 2.3% 반등…금값 2.9% 반락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트럼패닉’(트럼프+패닉)에 빠졌던 한국 금융시장이 10일 하루 만에 안정을 되찾았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44.22포인트(2.26%) 오른 2,002.60에 마감하며 2,000선을 되찾았다.

코스닥 지수도 23.49포인트(3.92%) 급등한 623.23에 장을 마쳤다.

전날 코스피가 2.25%, 코스닥이 3.92% 각각 급락한 데 대한 반발 매수세가 대거 유입됐다.

투자자들이 전날의 폭락세를 일시적 충격으로 인식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윤영교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대선 결과는 시스템적 위험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미국 국가 운영 시스템에 대한 신뢰,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도 단기 급락 뒤 회복한 학습효과가 증시에 반영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곤 하나금융투자 투자정보팀장은 “트럼프의 당선 연설 내용이 예상보다 급진적이지 않아 투자심리가 안정을 찾았다”고 평가했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코스피200 변동성 지수(VKOSPI)도 전날보다 26.12% 급락한 14.23으로 장을 마쳤다.

이 지수는 전날 19.26에 마감하며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이후 최고치까지 치솟아 투자자들의 패닉을 그대로 반영했다.

외환시장도 변동 폭이 줄어들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달러당 1.1원 오른 1,150.6원으로 장을 마쳤다.

전날 원/달러 환율은 장중 22.25원(1,157.25원)나 급등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8.5원 오른 1,158.0원에 출발하며 여진을 이어가는 듯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변동폭을 줄였다.

전날 급등한 안전자산들은 반대로 일제히 하락했다.

국고채 금리는 장단기물 모두 상승(채권값 하락)했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날보다 6.3bp(1bp=0.01%p) 내린 연 1.465%로 거래를 끝냈고 1년물은 2.8bp, 5년물은 9.4bp 상승했다.

장기물인 10년물은 14.8bp나 올랐고 30년물은 16.1bp, 20년물과 50년물은 16bp씩 상승 마감했다.

금값도 크게 빠졌다.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 금 1g은 전날보다 1천430원(2.92%) 떨어진 4만7천500원에 마감했다.

전날 금값은 1천940원(4.13%) 오른 4만8천930원에 거래를 마치며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투표일인 지난 6월 24일(2천370원) 이후 최대의 가격 상승 폭(종가 기준)을 기록한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