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in 비즈] ‘갑질’ 오너가3세 배려는 사치인가

[비즈 in 비즈] ‘갑질’ 오너가3세 배려는 사치인가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6-12-28 21:48
수정 2017-02-07 16: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기업의 오너가(家) 자제들은 보통 사람들이라면 직장에서 평생 험지(險地)를 뛰어야 간신히 얻을 수 있는 ‘임원’ 자리도 30대에 척척 오릅니다. 누가 봐도 초고속 승진인데, 회사에서는 “능력과 자질을 갖췄다”고 홍보합니다. ‘흙수저’ 입장에서는 부럽기도 하고 “불공평하다”는 생각도 사실 들지만 여기까지는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 자식들에게는 나중에 ‘은수저’라도 물려줘야지”라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이건 해도 너무하네”라는 말이 저절로 나오게 하는 울화통 터지는 사건들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6일 밤에는 동국제강 오너가 3세인 장모(34) 이사가 와인바에서 양주병을 깨는 등 난동을 부려 재물손괴 협의로 불구속 입건됐습니다. 술집에서 제공한 생일 케이크 값을 둘러싼 다툼이었다고 합니다. 그는 이달 2일 과장에서 이사로 신규 선임됐습니다. 그의 아버지 장세주 회장은 회사 자금을 빼돌려 원정 도박을 한 혐의로 징역 3년 6개월의 형을 받은 상태입니다. 올해만 해도 운전기사에게 갑질을 한 정일선 현대BNG스틸 사장, 기내 난동을 벌인 한 중소기업 오너의 아들 등도 시민들을 분노하게 만들었죠. 2년 전에는 조현아 당시 대한항공 부사장의 ‘땅콩회항’이 있었군요.

시민들이 이런 사건에 대해 분노하는 것은 ‘노블레스 오블리주’(높은 신분에 따르는 도덕적 의무와 책임)’을 기대해서가 아닙니다. 최소한 상식적으로 하지 말아야 할 일을 했기 때문이죠. 특히 이들이 앞으로 기업의 경영권을 이어 받을 오너가3세라는 점을 생각하면 ‘분노’는 ‘우려’로 바뀝니다.

한국의 대표 명문가로 꼽히는 경주 최부자 가문은 시집 온 며느리에게 3년간 무명옷만 입혔다고 합니다. 절약하는 마음을 가르치는 것도 있지만, 보통 사람의 살림을 알게 하고, 부자가 어떻게 행동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기 위해서랍니다. 요즘 말로 하면 ‘공감 능력’을 키워 준 것이죠.

일부 기업 오너가에선 회사에 들어온 자녀를 주유소나 생산 현장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일각에선 ‘보여 주기’ 아니냐고 폄하하지만 겨울철 주유구 앞에서 오들오들 떨어 본다면 공감 능력이 조금 더 길러지지 않을까요. ‘갑질’보다 찬바람 맞으며 일하는 직원들을 찾아가기를 오너가 3세들에게 권합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6-12-2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