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설선물 매출 최대 10% 줄었다…“20년만에 최악”

백화점 설선물 매출 최대 10% 줄었다…“20년만에 최악”

입력 2017-01-30 14:44
수정 2017-01-30 15: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호주산 소고기 등 수입산 저가 선물세트 매출은 급증세

청탁금지법 시행과 얼어붙은 소비 심리 등의 영향으로 유통업계의 연중 가장 큰 대목인 설 선물 매출이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만 원 이하’ 선물세트 매출이 급증한 동시에 50만~100만 원 이상의 고가 선물세트가 완판되는 등 소비의 ‘양극화 현상’도 두드러졌다.

30일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이달 12일부터 26일까지 설 선물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 줄었다.

축산(-3.1%), 농산(-3.1%), 수산(-7.4%) 등 5만 원 이상의 선물세트 대부분이 부진했다.

반면, 올해 설 선물 품목과 물량을 늘린 4만9천 원짜리 호주산 소고기 등 수입산 선물세트 매출은 126%, 5만 원짜리 굴비 등 5만 원 이하 상품은 115% 급증했다.

동시에 100만 원 이상의 한우, 굴비 등 고가의 프리미엄 신선식품 선물들 역시 한정수량이 매진됐다.

갤러리아백화점도 이달 9일부터 26일까지 설 선물세트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2% 줄었다.

이 백화점의 5만 원 미만의 선물세트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늘었다.

또 50만 원 이상의 고급 와인, 정육의 프리미엄 선물세트도 지속해서 매출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갤러리아백화점 측은 전했다.

현대백화점의 경우 지난해 26일부터 설 하루 전인 이달 27일까지 설 선물세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설 D-1 기준)보다 10.1% 줄었다.

대표적인 설 선물 상품군이었던 정육(-12.5%), 수산(-11.5%), 청과(-12.3%) 등의 판매가 부진했다. 홍삼(10.9%), 비타민(4.4%) 등 건강식품 매출은 늘었다.

롯데백화점은 유일하게 매출이 0.4% 증가했으나 사실상 제자리에 머문 수준이다.

롯데백화점에서는 축산(-3.9%), 청과(-7.8%), 굴비(-14.6%) 등의 매출이 줄어든 반면 건강식품(11.8%), 가공식품 및 생필품(20.9%)은 늘어나는 등 다른 백화점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롯데백화점 식품부문장 남기대 상무는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처음 맞는 이번 설에는 명절 특수가 사라지면서 축산, 굴비 등 전통적으로 인기 있던 신선식품 선물세트의 수요가 감소하고 가공식품 및 생필품, 건강식품 선물세트의 매출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대형마트 역시 설 선물세트 매출이 부진했다.

지난해 12월 8일부터 이달 27일(사전 예약 포함)까지 이마트의 설 선물세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감소했다.

과일(-9.2%), 축산(-13%), 수산(-9.7%), 주류(-5.9%), 커피·차(-2.9%), 조미료(-2.9%) 등 선물세트 매출이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실속’ 상품군으로 분류되는 통조림과 효도상품인 건강식품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4%, 4.1% 증가했다고 이마트는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