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결함 전세계에 알리겠다며 5억원 요구”…악성소비자 많다

“車 결함 전세계에 알리겠다며 5억원 요구”…악성소비자 많다

입력 2017-02-23 09:28
수정 2017-02-23 09: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차가 스스로 멈췄다”·“차에서 새소리가 난다”며 보상 요구

강종훈 기자= 승용차가 포도밭으로 추락했다. 소비자는 주행 중 시동이 꺼졌고,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아 포도밭으로 굴러떨어졌다면서 차량 교환을 요구했다. 현장 조사결과, 소비자는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 페달로 착각해 사고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김종훈 전 한국소비자원 분쟁조정국장은 악성 소비자 사례를 담은 ‘블랙 컨슈머 리포트’(도서출판 청어)라는 책을 내놨다.

이 책에 따르면 악성 소비자들이 거짓으로 사고경위를 설명하면서 보상을 요구하는 사례는 다양하다.

대학에 다니는 자녀를 둔 한 소비자는 크롬으로 도금된 이너핸들(도어손잡이)의 도금이 벗겨지면서 자녀의 손가락이 베였다면서 자동차 회사에 2천만원을 요구했다. 치료비 500만원, 후유 장애 보상금 500만원, 연구활동을 못 하는데 따른 손실액 1천만원 등이 요구금액의 근거였다.

이 소비자는 언론이나 소비자단체에 제보하면 자동차 회사의 피해가 더욱 클 것이라면서 소송까지 제기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자동차 회사는 결국 3개월 동안 1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상담한 끝에 300만원을 지불하는 것으로 종료했다.

한 소비자는 자동차의 크롬 휠의 설계 잘못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언론에 제보하겠다면서 5억원의 돈을 요구했다.

조사결과, 햇볕이 가장 강렬한 오후 2시에 10㎝ 가량의 높이에서 크롬휠 앞 30㎝에 인화물질이 있다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이 악성소비자는 전 세계에 이런 내용을 퍼트리면 국익 손상은 물론, 자동차 회사도 엄청난 손실을 입는 만큼 5억원의 보상은 많은 액수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자동차 회사는 이런 결함을 수정했으며 우여곡절 끝에 이 소비자에게는 새 차로 교환해줬다.

한 소비자는 주행을 할 때 차에서 새소리가 난다면서 40차례나 불만을 제기했다. 서비스센터 직원이 방문해 차량을 확인했으나 이상이 없었다.

이 책의 저자는 자동차 회사들이 블랙컨슈머에 인정주의와 적당주의로 대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자는 “블랙컨슈머가 사라지지 않는 것은 자동차 회사가 원칙 없이 대응하기 때문”이라면서 “블랙컨슈머가 회사에 와서 시위를 벌이면 보상을 해주는 등 일관성이 없는 행위를 하면 이런 문제는 근원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