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중심의 해외 ‘K뷰티’ 시장을 아세안·중동 국가로 확장하는 등 올해도 세계 시장 확대에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7월 말레이시아 다만사라에 위치한 AEON 백화점에 개장한 마몽드 1호점. 개장 첫날 몰려든 고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해 7월 말레이시아 다만사라에 위치한 AEON 백화점에 개장한 마몽드 1호점. 개장 첫날 몰려든 고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제공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시장 확대를 위해 지난해 9월 말레이시아 누사자야 산업 지역에 해외생산 법인을 신규로 설립했다. 2020년 완공이 목표다. 프랑스 사르트르, 중국 상하이에 이어 세 번째 해외 생산기지다. 싱가포르를 아세안 지역의 연구개발(R&D) 중심으로 삼고 전담 연구인력을 배치해 현지 산학 연구에 힘쓰고 있다. 싱가포르 국가 과학연구기관인 ‘A*STAR’ 산하 바이오 메디컬 연구소와 공동연구협약을 체결했다. 난양기술대학, 싱가포르국립대학, 싱가포르 내셔널스킨센터 등 싱가포르 유명 대학·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도 추진 중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중동의 화장품 시장이 2015년 180억 달러에서 2020년 360억 달러로 연평균 15%가량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5월 두바이에 거점을 마련하고 자유경제무역 D3구역에 100% 자본의 독립법인 ‘아모레퍼시픽 중동법인’을 설립했다. 에뛰드하우스가 중동시장 진출의 선발 주자다. 올해 하반기에 두바이에 에뛰드하우스 1호점을 개장하고, 앞으로 쿠웨이트·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바레인·오만 등 주변 국가로 확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아시안 뷰티에 대한 열망이 높아지고 있는 중동 고객들에게 아모레퍼시픽의 뷰티 문화를 적극 전파해 중국·동남아시아·인도·중동·유럽으로 이어지는 유라시아의 새 길을 ‘아시안 뷰티’로 연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7-02-24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