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취업자 가장 많은 곳은 식당·술집…10명 중 1.2명꼴

여성취업자 가장 많은 곳은 식당·술집…10명 중 1.2명꼴

입력 2017-04-25 14:19
수정 2017-04-25 14: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음식점·주점업 취업남성 비중 순위도 ‘6→5’위로 상승통계청, 2016년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발표

지난해 식당·술집 취업여성 비중이 전체 산업 중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 불황 여파로 음식점 및 취업자 비중은 남녀 각각 전년보다 순위가 한계단씩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5일 이런 내용의 2016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을 발표했다.

지난해 하반기(10월) 76개 산업 중분류별로 취업자 규모를 보면 소매업(자동차 제외) 취업자 수가 229만9천명(8.6%)으로 가장 많았다. 음식점 및 주점업(214만3천명·8.1%), 교육서비스업(186만3천명·7.0%) 등이 뒤를 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육상운송 및 파이프라인운송업이 104만1천명(6.8%)으로 가장 많았다. 여성은 음식점 및 주점업이 135만1천명(12.0%)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지난해에는 경기 불황 여파로 음식점 및 주점업 취업자 비중 순위가 남녀 모두 한 계단씩 상승해 눈길을 끌었다.

음식점 및 주점업 취업남성은 지난해 79만2천명(5.2%)으로 1년 전 6위에서 5위로 올라섰다. 음식점 및 주점업 취업여성 비중 순위도 1년 전 2위에서 1위로 상승했다.

228개 산업 소분류별로 보면 음식점업 취업자 수가 175만4천명(6.6%)으로 가장 많았으며 작물재배업(4.8%),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3.1%) 등 순이었다.

남자 취업자 비중이 높은 산업은 육상여객운송업(96.5%), 도로화물운송업(94.9%), 건물건설업(93.1%) 등 순이었다.

여성취업자 비중은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86.5%), 초등교육기관(80.2%), 의원(78.9%) 등 순으로 많았다.

전체 임금근로자 1천968만7천 명 중 월수입 100만원 미만은 11.4%, 100만∼200만 원은 33.8%, 200만∼300만 원은 14.2%, 400만 원 이상은 14.2%를 차지했다.

농림어업은 100만 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이 47.5%로 높게 나타난 반면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등은 400만 원 이상이 각각 34.6%, 32.1% 등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군인을 제외한 51개 직업 중분류별 취업자를 보면 경영 및 회계관련 사무직이 379만5천명(14.3%)으로 가장 많았고 매장판매직(200만1천명·7.5%), 조리 및 음식서비스직(165만5천명·6.2%) 등이 뒤를 이었다.

남성취업자 비중이 높은 직업은 자동차운전원(98.8%), 건설 및 광업 단순종사원(96.2%) 등이었고 여성취업자 비중은 의료복지관련 서비스종사자(94.1%), 회계 및 경리사무원(88.0%) 등이 높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