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상장주식 시총 세계 14위…올해 증가율은 3위

한국 상장주식 시총 세계 14위…올해 증가율은 3위

입력 2017-06-19 09:50
수정 2017-06-19 09: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스피의 사상 최고치 행진에 힘입어 한국의 상장 주식 시가총액이 전세계 증권거래소 중 14위로, 올해 들어 1계단 상승했다.

올해 한국의 시총 증가율은 세계 3위 수준이다.

19일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현재 코스피와 코스닥의 시가총액은 총 1조5천488억 달러로 작년 말의 1조2천821억 달러보다 20.8% 늘어났다.

세계거래소연맹(WFE)에 속한 81개 거래소의 전체 시가총액은 같은 기간 70조1천억 달러에서 71조9천억 달러로 2.5% 늘어나는 데에 그쳤다.

이에 따라 한국거래소는 상장 기업의 시총 증가율이 전 세계 증권거래소 중 인도의 내셔널증권거래소(25.6%), 뭄바이증권거래소(25.0%)에 이어 3번째를 차지했다.

독일 증권거래소(Deutsche Boerse·DB) 17.3%, 유로넥스트(Euronext) 16.2%, 스위스증권거래소(SIX SwissExchange) 16.0%, 나스닥 노르딕 거래소(NASDAQ Nordic Exchanges) 15.5%, 홍콩증권거래소 14.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상장 주식 시총 규모는 한국거래소가 세계 14위로 작년말보다 1계단 높아졌다.

전 세계 시총에서 한국거래소가 차지하는 비율은 2.2%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인도와 한국 증시가 속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시총 증가율이 7.0%에 달했고 미국 나스닥이 선전한 미주 지역도 6.3% 증가했다.

이에 비해 유럽(아프리카·중동 포함) 지역은 시총이 11.4% 줄었다.

지역별 시총 비중은 아메리카가 45.9%로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아시아·태평양(34.3%)이 그 뒤를 이었다. 유럽은 19.8%로 2007년 이후 처음으로 비중이 20% 아래로 떨어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