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하 세무사의 생활 속 세테크] 배우자 상속공제로 ‘최대 30억’ 절세하기

[이은하 세무사의 생활 속 세테크] 배우자 상속공제로 ‘최대 30억’ 절세하기

입력 2017-06-21 22:30
수정 2017-06-22 0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몇 년간 지병을 앓아 온 남편 박모씨가 얼마 전 사망하자 배우자 강모씨는 마음을 추스르기도 전에 상속세가 걱정이다. 상속공제를 받을 수 있어 10억원까지 상속세가 없다는 말부터 30억원까지라는 말까지 들리는 말도 다 제각각이다. 상속세는 얼마나 나오고 어떻게 하면 상속세를 줄일 수 있을까.

박씨가 남긴 재산은 부동산 12억원, 금융재산 13억원으로 총 25억원가량이다. 상속인은 강씨와 자녀 2명이다. 상속세 계산은 여러 종류의 세금 중 가장 복잡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기본적인 구조로만 보자면 상속재산에서 상속공제를 차감한 과세표준에 세율(10~50%)을 곱해 계산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상속공제는 일괄공제와 배우자 상속공제다. 사망한 자가 거주자라면 일괄공제 5억원을 받을 수 있으며 배우자 상속공제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일단 배우자 상속공제는 배우자가 생존해 있기만 하면 최소 5억원을 공제해 준다. 배우자가 한 푼도 상속받지 않아도 상관없다. 그럼 배우자 공제는 얼마까지 가능할까. 배우자가 실제로 상속받은 금액을 공제받을 수 있는데 이때 배우자의 법정상속지분을 한도로 한다. 즉 강씨가 상속받은 재산을 공제받되 상속재산 25억원의 42%인 10억 5000만원을 한도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강씨가 10억원을 상속받는다면 10억원을 공제받을 수 있고 20억원을 상속받는다면 한도에 걸려 10억 5000만원까지만 공제받을 수 있다. 법정한도 내라고 무한정 받을 수 있는 건 아니다. 배우자 상속공제의 최대한도인 30억원까지만 가능하다.

배우자인 강씨가 상속을 많이 받으면 나중에 강씨가 사망했을 때 자녀가 내야 할 상속세가 많아지는 것도 염려될 수 있다. 이때 상속세 연대납세의무를 활용한다면 강씨의 재산을 줄이는 게 가능하다. 상속세는 상속인들 간 본인이 상속받은 재산 범위 내에서 연대납세의무가 있어 상속인 중 누구 한 명이 상속세를 전부 다 내고 다른 상속인들은 상속만 받고 상속세를 한 푼도 부담하지 않아도 괜찮다.

예를 들면 강씨가 배우자 상속공제 한도인 10억 5000만원을 상속받으면 상속세는 2억 925만원이다. 상속세를 강씨가 전부 낸다면 실제로 강씨가 받은 재산은 8억 4075만원으로 줄어들어 추후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강씨에게 기존에 본인 이름으로 된 재산이 별로 없다면 배우자 공제를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재산을 분할하고 상속세는 강씨가 전부 부담하는 것이 유리하겠다.

미래에셋대우 VIP컨설팅팀



2017-06-2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