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된 韓경쟁력’ 4년째 26위…“선진국서 드물게 순위 하락세”

‘정체된 韓경쟁력’ 4년째 26위…“선진국서 드물게 순위 하락세”

입력 2017-09-27 09:10
수정 2017-09-27 09: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경제포럼 2017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발표노동시장 효율·금융시장 성숙 부문이 ‘발목’

세계경제포럼(WEF)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이 올해 137개국 중 26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순위는 2014년∼2017년 4년 연속으로 제자리 걸음했다.

2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한국은 WEF 2017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26위를 차지했다.

‘다보스 포럼’이라고도 알려진 WEF는 저명한 기업인, 경제학자, 정치인 등이 모여 세계 경제 문제를 토론하는 민간회의체다.

이 기구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등의 통계와 국가별 최고경영자(CEO)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매년 각국의 국가경쟁력을 평가하고 있다.

한국은 2007년 역대 최고인 11위까지 올랐다가 매년 순위가 떨어졌다.

2011년 24위까지 밀리고서 2012년 19위로 반등했으나 이듬해 다시 25위로 하락했다.

2014년엔 26위로 밀린 후 4년째 순위를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다.

이는 2000년대 이후 최저 순위에 가깝다.

2000년대 들어 한국의 최저 순위는 2004년 29위다.

3대 분야별로 보면 가중치가 50%로 가장 큰 ‘효율성 증진’이 26위로 순위가 가장 낮았다.

가중치 30%인 ‘기업혁신·성숙도’는 23위, 가중치가 20%인 ‘기본 요인’의 순위가 가장 높은 16위였다.

노동·금융 등이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갉아먹는 주요인으로 분석됐다.

3대 분야를 다시 12개 하위 부문으로 나눠보면 ‘효율성 증진’ 항목인 ‘노동시장 효율’은 73위, ‘금융시장 성숙’은 74위에 그쳐 가장 경쟁력이 떨어지는 부문으로 파악됐다.

경제의 혁신 역량을 보여주는 ‘기업혁신’은 18위였다.

작년보다 2계단 상승했지만, 추세적으론 하락 흐름이라고 기재부는 지적했다.

반면 ‘기본 요인’의 한 부문인 ‘거시경제환경’은 2위로 가장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물가, 국가저축률, 재정 건전성, 국가신용도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때문이다.

역시 ‘기본 요인’에 포함된 ‘인프라’도 8위여서 비교적 우수한 경쟁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됐다.

WEF는 “한국은 선진국 중에 드물게 지난 10년간 순위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12개 부문 간 불균형이 두드러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동시장의 낮은 효율성이 국가경쟁력 상승을 발목 잡는 만성적인 요인”이라며 경쟁국에 대비해 혁신 역량의 우위를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1위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스위스가 차지했다.

미국은 2위, 싱가포르는 3위로 그 뒤를 따랐다.

일본은 9위였고 중국은 한국보다 한 계단 아래인 27위에 올랐다.

기재부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음 달 중으로 국가경쟁력 정책협의회를 열기로 했다.

기재부 1차관이 주재하고 차관급 정부위원 11명, 민간위원 11명으로 꾸려진 협의회는 2013년 두 차례 회의를 열었으나 이후 활동을 중단한 상태다.

기재부 관계자는 ”고용 안전망 강화를 전제로 노동시장 역동성을 강화하는 등 경제 구조 개혁 노력을 경주하겠다“며 ”경제의 공급능력을 확충하기 위한 혁신 성장 전략을 마련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